Research Articl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31 March 2022. 73-83
https://doi.org/10.9720/kseg.2022.1.073

ABSTRACT


MAIN

  • 서 론

  • 연구지역

  •   지형 및 지질

  •   강우량

  •   산사태 발생 현황

  •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자료 수집

  •   분석 방법

  • 분석 결과

  •   물리 ‧ 역학적 특성

  •   지형학적 특성

  •   배수시설

  • 결 론

서 론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장 2조에 의하면, 임도는 산림의 경영 및 관리를 위하여 설치된 도로로 정의된다. 임도는 지역도로망의 한 부분으로 산림이라는 공간에 도로를 매개체로 시장 또는 생산 ‧ 생활공간을 연결해주는 기반시설이다(KFS, 2000). 국내의 경우 급경사인 산지가 많으므로 임도 개설 시 절 ‧ 성토면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임도 상부사면은 절토되어 경사가 급해지며, 임도 하부사면은 성토로 인해 토층이 두꺼워지고 상부에 비해 토층이 느슨하여 산사태에 취약한 상태가 된다. 2011년 경상남도 밀양시 양지마을의 산사태, 2013년 강원도 춘천시와 밀양시 일대의 산사태, 2014년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의 산사태 모두 임도로부터 유발된 산사태이다(Park and Park, 2015).

Oh and Lee(1998)는 임도 개설에 따른 사면붕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사도, 사면면적, 강우자료, 사면의 침식과 퇴적량을 분석하여 사면의 적정 경사도 및 사면의 길이를 제안하였다. Ji et al.(2000)은 집중호우로 붕괴된 임도를 대상으로 성토사면의 토질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면형태 별로 안정해석을 수행하여 임도 성토사면의 취약성을 밝히고 보강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Lee et al.(2004)Montgomery and Dietrich(1994)의 수문모델을 적용하여 일정한 강우 시 사면 위치에 따른 토양의 수분 포화도를 분석하여 임도 성토사면의 산사태 붕괴에 따른 안정대책을 제안하였다. Park(2015)은 임도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관련이 있는 11가지 산림환경영향인자(절토 및 성토 사면의 경사, 사면의 길이, 사면의 방위, 임상, 임령, 표고, 토성, 연간누적 강우량, 평균강우량, 월 최대강우량)를 선정하여 각 인자와 산사태 발생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인자 5가지(경사, 강우, 임령, 임상, 토성)를 선정하여 임도재해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임도 상부사면과 하부사면은 시공과정의 차이로 토층의 물리역학적 특성과 지형학적인 요인에서 차이가 있지만(Oh and Chun, 1990),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임도의 상부사면(절토사면, 자연사면)과 하부사면(성토사면)을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식생이 동일하고, 유사한 토질조건을 갖는 지역(화강암과 편마암이 분포)에서 산사태가 발생한 임도 상부사면과 하부사면을 대상으로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과 사면의 지형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임도 주변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한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지역

지형 및 지질

연구지역은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상산마을 주변 임도로, 동북측에는 오청산(656.8 m), 동측에는 천등산(807.1 m), 서측에는 장백산(405 m)이 위치하며, 서남부 지역은 비교적 평탄한 지형으로 논과 밭이 조성되어 있다. 수계를 살펴보면 오청산 자락에서 발원한 송강천이 흐르며 송강천의 상류에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송강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Fig. 1a).

1:50,000 지질도의 목계도폭 북동-동측에 위치하며, 지질도 상에서는 함자철석 미립질 편마암, 흑운모 화강암, 우백질 화강암이 관찰된다(Fig. 1b). 광역지질을 살펴보면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류(흑운모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가 최고기암이며, 이를 중생대의 화강암류(흑운모 화강암, 우백질 화강암)가 관입하고 있다. 이 화강암체는 도폭 내의 각처에 대소규모의 변성암류(함자철석미립질편마암)를 포획하고 있다. 함자철석미립질편마암은 천등산층에 포함되며, 화강암 관입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되나 정확한 시대는 특정할 수 없다(Park and Yeo, 197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1.jpg
Fig. 1.

Topographic and geological maps of the study area. The yellow line indicates the forest road.

강우량

연구지역에서 2020년 8월 2일에 다수의 산사태가 발생하였다. 산사태 발생일을 포함한 일주일(‘20년 7월 27일~‘20년 8월 2일) 동안의 강우량은 기상청 기상자료 개방포털의 공공기관 기상관측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강우자료는 일기도 작성을 목적으로 측정된 종관기상관측 자료를 사용하지만, 관측소의 수가 적어 연구지역과 16.5 km 이상 떨어져 있다. 공공기관 기상관측은 국토교통부, 환경부, 산림청, 서울시, 부산시, 국립공원관리공단, 한국도로공사 등 기상청의 '기상관측표준화법'에 따라 기상관측업무를 수행하는 총 27개 공공기관의 기상관측자료를 서비스하는 기능이다.

공공기관 기상관측자료 중 연구지역과 4 km 떨어진 최단 거리의 관측소(송강(3201))에서 측정된 강우 자료를 확인한 결과, 7월 27일 0 mm, 28일 3 mm, 29일 139 mm, 30일 75 mm, 31일 0 mm, 8월 1일 20 mm, 2일 343 mm로 일주일 동안의 누적 강우량은 580 mm이다. 산사태 발생일인 8월 2일 1시부터 12시까지 12시간 동안에 직전 일주일 누적 강우량의 58%인 335 mm의 비가 내렸으며, 강우가 산사태 발생의 유발요인 중 하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2). Fig. 2에서 회색영역은 다수의 산사태가 발생한 2020년 8월 2일을 표시한 것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2.jpg
Fig. 2.

Hourly rainfall across the study area during the week before the landslide on 2 August 2020.

산사태 발생 현황

야외지질조사 결과, 산사태는 임도 8.5 km 구간에서 상부사면 9개소, 하부사면 27개소, 자연사면 3개소, 총 39개소에서 발생하였다(Fig. 3a). 임도 상부사면과 하부사면에서 발생한 산사태는 Figs. 3c~3e와 같이 두부 급사면(head scarp)에서 대부분 원호파괴 형태로 발생하였으며, 임도 상부사면 중 일부 토층이 얇은 곳에서는 흙과 암 경계부에서 붕괴가 발생하여 얕은 깊이의 전이형 산사태(translational landslide)와 같은 형태를 보인다.

자연사면의 경우 산사태가 발생한 지점은 서로 인접하여 나타난다(Fig. 3b). 항공사진 분석결과에 의하면 해당지역은 2017~2018년 사이에 벌채가 진행되었고, 그 이후에 묘목으로 조림되었다. 나무의 뿌리는 사면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Endo and Tsuruta, 1969; Wu, 1976; Waldron and Dakessian, 1981; Gray and Ohashi, 1983), 이러한 뿌리보강(Root reinforcement) 효과는 조림 후 약 20년 동안 빠르게 증가하고 그 후에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be and Ziemer, 1991). 산사태가 발생한 자연사면은 임령이 어리기 때문에 타 지점보다 뿌리보강효과가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3.jpg
Fig. 3.

Observations of landslides in the study area. (a) Locations of landslides along the forest road. (b) Landslides on the natural slope. (c) and (d) Landslides on the lower slope of the forest road. (e) Landslide on the upper slope of the forest road.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자료 수집

산사태가 발생한 39개소 중 임도와 관련 없는 자연사면 산사태 3개소(벌채지역)와 시료채취가 불가능한 지점 6개소를 제외한 30개소(임도 상부사면 6개소, 임도 하부사면 24개소)를 대상으로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과 사면의 지형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물리 ‧ 역학적 특성에는 건조 및 포화 단위중량, 비중, 공극률, 점착력, 마찰각이 분석되었으며, 사면의 지형학적 특성에는 토층 두께, 경사, 사면곡률(profile and plan curvature), 지형습윤지수(topographic wetness index, TWI), 특정집수영역(specific catchment area, SCA)이 분석되었다.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된 실내시험과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장에서 링 샘플러(지름 100 mm, 높이 50 mm; Fig. 4a)를 이용하여 불교란시료를 채취하였다. 불교란시료를 이용한 실내시험은 미국표준시험법인 ASTM 규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함수비시험(ASTM D2216-10, 2010), 비중시험(ASTM D854-10, 2010), 직접전단시험(ASTM D3080-98, 1998)을 수행하였다(Figs. 4b~4c).

지형학적 특성 중 토층 두께는 콘관입시험기(Solsolution社 Panda 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범위는 0.3~4 m이다(Fig. 4d). 경사, 곡률, 지형습윤지수, 특정집수유역에 대한 데이터는 국토지리정보원의 1:5,000 수치지도와 오픈소스 GIS 프로그램(SAGA GIS)으로부터 획득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4.jpg
Fig. 4.

Laboratory tests and geological investigation: (a) taking an undisturbed sample using a ring sampler, (b) specific gravity testing, (c) direct shear testing, and (d) measuring the thickness of regolith using a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er.

분석 방법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 및 사면의 지형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상자 수염 그림(box - whisker plot)을 도시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그래프에서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비교하지만, 상자 수염 그림은 서로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각 집단의 중앙값(median), 사분위수 범위(interquartile range, IQR), 수염 범위(whisker range) 등 다양한 지표를 가시적으로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g. 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5.jpg
Fig. 5.

Construction of a box - whisker plot (modified from Wickham and Stryjewski, 2011).

상자 수염 그림에서 다섯가지 숫자요약(five number summary)은 최솟값(minimun), 최댓값(maximum), 제1사분위수(Q1), 제2사분위수(Q2, median), 제3사분위수(Q3)를 의미한다. 상자 수염 그림에서 제1사분위와 제3사분위까지의 범위를 사분위수범위(IQR)인 상자로 표현하고, 상자 안에 중앙값(제2사분위수)이 분포한다. 수염 범위(whisker)는 사분위수범위의 1.5배 떨어진 점의 범위이며 상 ‧ 하 기준선 내에 분포하는 데이터 중 최댓값과 최솟값을 의미하며, 상부 기준선을 초과하거나 하부 기준선에 미달하는 데이터는 이상치(outlier)로 판단한다.

분석 결과

물리 ‧ 역학적 특성

Fig. 6은 임도 상부 6개소 및 하부 사면 24개소의 물리 ‧ 역학적 특성을 상자 수염 그림으로 도시한 결과이다. 연구지역에는 미립질편마암, 흑운모 화강암, 우백질 화강암이 분포하지만, 상기 암종들의 토층은 통일분류법의 SW(세립질이 거의 없는 입도분포가 양호한 모래 또는 자갈 섞인 모래) 또는 SP(세립질이 거의 없는 입도분포가 불량한 자갈 또는 자갈 섞인 모래)로 분류되어 유사한 토질조건을 보인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6.jpg
Fig. 6.

Box - whisker plots showing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upper and lower slopes of the forest road.

건조단위중량의 IQR은 상부사면 1.42~1.64 g/cm³, 하부사면 1.33~1.79 g/cm³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1.45 g/cm³, 하부사면 1.41 g/cm³로 하부사면이 상부사면보다 작다. 포화단위중량의 IQR은 상부사면 1.85~2.00 g/cm³, 하부사면 1.82~1.99 g/cm³로 데이터의 분포 범위가 비슷하며, 중앙값은 상부사면과 하부사면 모두 1.88 g/cm³로 동일하다. 비중의 IQR은 상부사면 2.51~2.70, 하부사면 2.62~2.67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2.66, 하부사면 2.65로 상부사면과 하부사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공극률의 IQR은 상부사면 39.54~46.49%, 하부사면 40.58~50.11%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이 41.12%, 하부사면이 46.46%로 하부사면이 더 크다. 점착력의 IQR은 상부사면 3.62~15.56 kPa, 하부사면 6.69~16.66 kPa으로 높은 값과 높은 범위를 보이지만, 중앙값은 상부사면 9.73 kPa, 하부사면 9.66 kPa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마찰각의 IQR은 상부사면 27.01~31.65°, 하부사면 24.49~30.03°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28.81°, 하부사면 28.51°로 하부사면이 낮은 값과 낮은 분포범위를 보인다.

근소한 차이이긴 하지만 흙의 물리 ‧ 역학적 특성에서 나타나는 상기 경향은 임도 상부사면이 자연사면으로 유지되는 반면에 임도 하부사면이 성토로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사면에서는 공극이 많고 건조단위중량이 낮으며 토층의 입자 배열이 느슨하여 마찰각이 작게 나타날 수 있다.

지형학적 특성

Fig. 7은 임도 상부 및 하부 사면에서 산사태가 발생한 시점부의 지형학적 특성을 상자 수염 그림으로 도시한 결과이다. 토층 두께의 IQR은 상부사면 0.46~3.20 m, 하부사면 1.33~4.00 m 이상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0.65 m, 하부사면 2.68 m로 하부사면의 경우 42% (26개소 중 10개)가 4 m 이상에 해당한다. SAGA GIS에서는 사면 경사를 계산하는 알고리즘 10개를 제공하나, 본 연구에서는 3 × 3 윈도우 기본 계산 픽셀단위에서 가장 적합한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Zevenbergen and Thorne(1987)이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사면 경사의 IQR은 상부사면23.43~41.02°, 하부사면 17.34~35.26°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32.18°, 하부사면 25.65°이다. 이러한 결과는 임도 상부사면의 경우 주로 절토, 하부사면은 성토사면이므로 하부 사면이 더 두껍고 경사가 완만한 일반적인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7.jpg
Fig. 7.

Box - whisker plots showing the topographic properties of the upper and lower slopes of the forest road.

사면의 곡률은 측면곡률(profile curvature)과 평면곡률(plan curvature)로 구분된다. 측면곡률은 경사 방향에 대한 수평 방향의 곡률이며, 평면곡률은 경사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곡률이다. 사면의 곡률은 양수일 경우에는 볼록한 지형을, 음수일 경우에는 오목한 지형을 의미한다. 측면곡률의 IQR은 상부사면 -0.007~0.007, 하부사면 -0.012~0.009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0.000, 하부사면 -0.006이다. 평면곡률의 IQR은 상부사면 -0.011~0.010, 하부사면 -0.014~0.003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0.002, 하부사면 -0.003이다. Fig. 8은 측면곡률과 평면곡률에 따른 사면의 형상을 분류하는 그림(Dikau, 1989)으로서, 먼저 측면곡률로 1차 분류를 하고, 평면곡률로 2차 분류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측면곡률과 등고선 곡률구배가 모두 0일 경우에는 Profile-Straight / Plan-Straight와 같이 표기한다. 중앙값을 기준으로 상부사면은 Profile-Straight / Convex, 하부사면은 Concave / Concave로 분류된다. Wieczorek et al.(1997)에 따르면 산사태 발생지점의 곡률은 대체로 음수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으며, 본 연구의 분석결과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8.jpg
Fig. 8.

Classification of form elements based on plan and profile curvatures (modified after Dikau, 1989). The gray dashed box indicates the curvature of the upper slope (profile-straight/convex), and the gray solid box indicates the curvature of the lower slope (concave/concave).

지형습윤지수(TWI)는 토양의 습윤함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식 (1)과 같이 계산된다(Beven and Kirkby, 1979).

(1)
TWI=lnSCAtan(β)

여기서, SCA는 특정집수유역, β는 사면의 경사를 의미한다. 특정집수유역은 배수지점의 단위 등고선 길이 당 산비탈 면적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사면 방향과 경사에 따라 다중방향에서 흐를 수 있는 Multiple flow direction(MDF)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지형습윤지수의 IQR은 상부사면 3.37~3.74, 하부사면 4.10~5.17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3.68, 하부사면 4.62이다. 특정집수면적의 IQR은 상부사면 22.20~28.95, 하부사면 32.19~84.79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25.77, 하부사면 42.33이다. 지형습윤지수와 특정집수면적 모두 하부사면이 상부사면보다 높은 값과 높은 범위를 보인다. 지형습윤지수는 대부분 -3~30 범위에 분포한다. 지형습윤지수가 낮은 영역은 경사가 급하거나 산등성이 같은 지형이 주를 이루며, 지형습윤지수가 높은 영역은 물이 집수 될 수 있는 평평한 지형일 확률이 높다(Ballerine, 2017). 본 연구에서는 임도 상부사면보다 하부사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특정집수면적이 넓어서, 하부사면의 지형습윤지수가 상부사면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배수시설

임도 하부사면이 상부사면보다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는 임도의 부적절한 배수시설이다. 임도는 대부분 콘크리트 포장이 되어 있지 않고, 일반도로에 비하여 물이 쉽게 토층으로 침투하므로 임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배수시설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Choi et al., 2011; Kim et al., 2018). 배수가 불량한 경우에는 표면유출수가 임도를 통해 임도 하부사면으로 침투하여 사면 내부의 간극수압이 증가하고 토층의 하중이 증가하여 임도 하부사면의 붕괴를 유발하게 된다(Anderson and Zhu, 1996).

연구지역의 임도에는 옆도랑(side ditch), 콘크리트 개거(concrete ditch), 배수구조물(drainage culvert) 등의 배수시설이 존재하지만, Fig. 9와 같이 시공 및 유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옆도랑은 콘크리트 구조물 없이 굴착기로 굴착되어 있는 형태로서 줄떼공이 미시공이 되어 있고, 폭 0.7~1 m, 깊이 0.2~0.5 m의 범위에서 복구 및 보수가 이루어져야 하지만(KFS, 2015) 대부분 토사로 덮여 배수로의 기능을 상실한 상태이다(Fig. 9a). KFS(2015)에 따르면, 콘크리트 개거는 임도 포장구간에 시공되어야 하며, 토사구간에 독립적으로 시공되는 경우 개거 주변에 서로 맞물리는 공작물이 없어 훼손될 위험이 높다. 연구지역의 횡단개거는 토사구간에 시공되어 있으며, 덮개가 모두 분실되어 낙엽 등의 부유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Fig. 9b). 횡단으로 배수구조물이 매립된 임도 일부 구간에서는 산사태에 의하여 구조물이 노출되어 있으며(Fig. 9c), 구조물의 배수 용량을 초과하는 유수의 유입으로 임도로 물이 범람함에 따라 하부사면의 산사태를 촉발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1/N0520320106/images/kseg_32_01_06_F9.jpg
Fig. 9.

Status of drainage facilities in the study area: (a) a plugged side ditch, (b) a concrete ditch constructed in the soil, and (c) an exposed drainage culvert.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식생 조건이 동일한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한 임도 상부사면과 하부사면을 대상으로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과 사면의 지형학적인 특성 차이를 분석하고, 임도 주변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한 원인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산사태는 임도 8.5 km 구간에서 상부사면 9건, 하부사면 27건, 자연사면 3건, 총 39건이 발생하였다. 이 중 산사태가 발생한 임도 상부사면 6개소, 하부사면 24개소를 대상으로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 및 지형학적인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층의 물리 ‧ 역학적 특성인 건조단위중량의 IQR은 상부사면 1.42~1.64 g/cm³, 하부사면 1.33~1.79 g/cm³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1.45 g/cm³, 하부사면 1.41 g/cm³로 하부사면이 상부사면보다 작다. 포화단위중량과 비중의 IQR과 중앙값은 상하부사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공극률의 IQR은 상부사면 39.54~46.49%, 하부사면 40.58~50.11%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이 41.12%, 하부사면이 46.46%로 하부사면이 더 크다. 점착력의 IQR은 상부사면 3.62~15.56 kPa, 하부사면 6.69~16.66 kPa으로 높은 값과 높은 범위를 보이지만, 중앙값은 상부사면 9.73 kPa, 하부사면 9.66 kPa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마찰각의 IQR은 상부사면 27.01~31.65°, 하부사면 24.49~30.03°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28.81°, 하부사면 28.51°로 하부사면이 낮은 값과 낮은 분포범위를 보인다.

사면의 지형학적 특성인 토층 두께의 IQR은 상부사면 0.46~3.20 m, 하부사면 1.33~4.00 m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0.65 m, 하부사면 2.68 m으로 하부사면의 토층이 두껍다. 사면 경사의 IQR은 상부사면 23.43~41.02°, 하부사면 17.34~35.26°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32.18°, 하부사면 25.65°으로 하부사면이 상대적으로 완만하다. 측면곡률의 IQR은 상부사면 -0.007~0.007, 하부사면 -0.012~0.009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0.000, 하부사면 -0.006이다. 평면곡률의 IQR은 상부사면 -0.011~0.010, 하부사면 -0.014~0.003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0.002, 하부사면 -0.003이다. 중앙값을 기준으로 사면의 형상을 분류할 경우, 상부사면은 Profile-Straight / Convex, 하부사면은 Concave / Concave로 분류된다. 지형습윤지수의 IQR은 상부사면 3.37~3.74, 하부사면 4.10~5.17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3.68, 하부사면 4.62이다. 특정집수면적의 IQR은 상부사면 22.20~28.95, 하부사면 32.19~84.79이며, 중앙값은 상부사면 25.77, 하부사면 42.33이다. 지형습윤지수와 특정집수면적 모두 하부사면이 상부사면보다 높은 값과 높은 범위를 보인다.

임도에 시공되어 있는 배수시설을 살펴보면, 옆도랑은 줄떼공이 미시공 및 토사로 덮여 배수로의 기능을 상실한 상태이며, 콘크리트 개거는 덮개가 모두 분실되어 낙엽 등의 부유물이 유입되기 용이하고, 배수구조물은 강우량에 비해 설계 배수용량이 작다.

따라서 상부사면(자연 또는 절취사면) 보다 하부사면에서 집중적으로 산사태가 발생한 원인은 하부사면이 성토로 조성된다는 점, 이로 인해 토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산사태 발생에 불리한 물리 ‧ 역학적 특성을 갖게 되는 점, 임도 배수시설이 부적절하게 시공되었거나 유지관리가 미흡한 점 등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동일 연구지역의 산사태 미발생 지점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를 규명하는 등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할 계획이다.

References

1
Abe, K.A., Ziemer, R.R., 1991, Effect of tree roots on shallow-seated landslides, Proceedings of the IUFRO Technical Session on Geomorphic Hazards in Managed Forest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Montreal, 11-20.
2
Anderson, S.A., Zhu, J.H., 1996, Assessing the stability of a tropical residual soil slope, Proceedings of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Netherlands, 1073-1077.
3
ASTM D2216-10, 2010, Standard test methods for laboratory determination of water (moisture) content of soil and rock by mass,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DOI:10.1520/D2216-10. 10.1520/D2216-10
4
ASTM D3080-98, 1998, Standard test method for direct shear test of soils under consolidated drained conditions,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DOI:10.1520/D3080-98. 10.1520/D3080-98
5
ASTM D854-10, 2010, Standard test methods for specific gravity of soil solids by water pycnometer,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DOI:10.1520/D0854-10. 10.1520/D0854-10
6
Ballerine, C., 2017, Topographic wetness index urban flooding awareness act action support, Will & DuPage Counties, Illinois, Illinois State Water Survey, 17p.
7
Beven, K.J., Kirkby, M.J.,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 Science Bulletin, 24, 43-69. 10.1080/02626667909491834
8
Choi, Y.H., Lee, J.W., Kim, M.J., 2011, A study on development standard calculation program of forest road drainag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0(1), 25-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Dikau, R., 1989, The application of a digital relief model to landform analysis in geomorphology. In Three Dimensional Applications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CRC Press, 51-77. 10.1201/9781003069454-5
10
Endo, T., Tsuruta, T., 1969, The effect of the tree’s roots on the shear strength of soil Annual Report 1968, Hokkaido Branch Forest Experiment Station, Sapporo, Japan, 167-182.
11
Gray, D.H., Ohashi, H., 1983, Mechanics of fiber reinforcement in sand,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109(3), 335-353. 10.1061/(ASCE)0733-9410(1983)109:3(335)
12
Ji, B.Y., Oh, J.H., Cha, D.S., 2000, Soil mechan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analysis on fill slope of forest roa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2), 275-2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FS (Korea Forest Service), 2000, Forest & forestry technique 3, 668p (in Korean).
14
KFS (Korea Forest Service), 2015, Forest roa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work manual, 402p (in Korean).
15
Kim, M.H., Hwang, J.S., Yu, Y.M., Cha, D.S., 2018, A study on outlet damage prediction of pipe culverts in forest roa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7(3), 278-2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S.K., Lee, K.G., Ban, K.M., Lee, S.H., Ban, M.A., Kim, J.S., 2004, Landslide occurrence on the fill slope of forest road and its measures in the middle part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est Engineering Technique, 2(3), 247-2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ontgomery, D.R., Dietrich, W.E., 1994, A physically based model for the topographic control on shallow landsliding, Water Resources Research, 30(4), 1153-1171. 10.1029/93WR02979
18
Oh, D.Y., Lee, D.Y., 1998, A study on landlide of cutting and banking slope forest road, Journal of Resource Science, 6, 289-3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Oh, J.M., Chun, K.W., 1990, A study on landslide in the slope of the forest road, Journal of Forest Science, 7, 35-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B.S., Yeo, S.C., 1971, Geological map of Korea: Moggye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24p.
21
Park, J.H., 2015, Analysis on disaster area and occurrence area of forest roads in Jeollabuk-do by utilizing GIS, Chunbuk National University, 5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J.H., Park, J.M., 2015,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occurrence and the disaster-prone zones on the forest roads in the Jeollabuk-do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4), 598-6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14578/jkfs.2015.104.4.598
23
Waldron, L.J., Dakessian, S., 1981, Soil reinforcement by roots: Calculation of increased soil shear resistance from root properties, Soil Science, 132(6), 427-435. 10.1097/00010694-198112000-00007
24
Wickham, H., Stryjewski, L., 2011, 40 years of boxplots, America Statistician 2011, 11p.
25
Wieczorek, G.F., Mandrone, G., Decola, L., 1997, The influence of hillslope shape on debris-flow initiation, In: ASCE (ed.),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Water Resources Engineering Division, SanFrancisco, CA, 21-31.
26
Wu, T.H., 1976, Investigation of landslides on prince of Wales Island, Alaska, Ohio State University, 94p.
27
Zevenbergen, L.W., Thorne, C.R., 1987,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 surface topography,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12(1), 47-56. 10.1002/esp.3290120107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