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31 December 2022. 559-569
https://doi.org/10.9720/kseg.2022.4.559

ABSTRACT


MAIN

  • 서 론

  • 연구지역

  • 연구방법

  •   시료채취 및 현장수질 측정

  •   화학성분 및 동위원소 분석

  • 결과 및 토론

  •   현장수질 측정결과

  •   주요 화학성분과 미량원소

  •   수리화학적 유형

  •   산소-수소 동위원소

  • 결 론

서 론

지표수나 지하수의 산성화는 산성폐수의 유입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이나 암석내 황철석과 같은 황화광물의 산화에 의해 산성배수(acid rock drainage, ARD)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다. 특히 산성배수는 자연기원으로 주변 환경, 사면구조물의 안정성과 수명, 경관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과거에 산성배수는 휴 ‧ 폐광산지역의 주요 환경오염으로만 인식되었다. 최근 대규모 토목 및 건설공사 시 황화광물의 용해로 인해 구조물의 안전성 및 주변 환경에도 위해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성배수를 발생시키는 가장 대표적인 황화광물은 황철석(pyrite, FeS2)으로, 탄화대, 광화대, 함황철석 안산암, 제 3기 층의 특이산성토 등 우리나라 다양한 지질환경에서 흔히 산출된다. 또한 Sulfurlobus acidocaldarious, Leptospirillum ferrooxidans, Thioaciluus aicdophillu 등의 미생물이 황철석의 산화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산소와의 반응보다 미생물에 의한 철의 산화는 수만-수십 만 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Nordstrom, 1982; Kirby et al., 1999; Kock and Schippers, 2006).

포항지역의 이암층은 대부분 신생대 제 3기 마이오세의 퇴적물로 속성작용 중에 지반의 융기로 지표로 노출되어 있으며, 지표수와 지하수를 산성화시킬 수 있는 산성배수를 유발하는 황화광물을 함유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Sim, 2000). 아울러 포항과 같은 해안지역은 염수침입(seawater intrusion)에 의한 토양 내 염류집적으로 농업활동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umar et al., 2007). 이러한 문제점은 섬진강 유역에서 보고된 바 있다. 섬진강 상류 대형 다목적댐이 건설된 이후 하류로 유출되는 수량이 크게 감소하여, 하류에서는 만조시 해수유입이 상류 쪽으로 크게 확산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eo et al., 2012). 또한 2017년 11월 포항지진(규모 5.4)에 의해 액상화 현상이 국내에서 최초로 관찰된 이후 액상화 현상의 특징과 액상화 평가방안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Park et al., 2018; Gahng, 2019; Gang et al., 2019).

본 연구의 목적은 포항지역 제 3기층 지역에서 지하수, 하천수, 그리고 저수지의 산성화와 해수의 혼합을 해석하는데 있다. 아울러 2017년 11월 15일 포항지진에 의한 액상화 현상 발생으로 인한 유출수의 기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지역내 지하수, 하천수, 저수지, 액상화 유출수, 해수 시료를 채취하여 주요 이온 성분과 미량원소, 그리고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연구지역은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일대로 해안과 접하고 있다. 한국지질도 포항도폭(1:50,000)에 따르면(Um et al., 1964) 이 지역의 지질은 주로 신생대 제 3기 연일층군의 이동층과 흥해층에 해당된다(Fig. 1). 흥해층은 주로 사 암, 이암, 역암 및 셰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색은 대체로 백색을 보인다. 본 층의 상부와 하부는 이암과 셰일로 주로 구성되며, 중간층은 사암층이 주로 분포되어 있다. 이동층은 대체로 갈색 내지 백갈색을 보이며, 학림층과 비슷한 암색을 나타내고 있다. 주된 구성 암석은 상부에는 이암과 셰일이 분포하고, 중간층에는 이암이 하부에는 사암과 셰일이 주로 분포되어 있다.

연구지역은 넓은 충적층이 발달한 지역이며, 곡강천이 연구지역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여 수문지질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곡강천은 서쪽 내륙에서 동쪽으로 흘러 동해안으로 유입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4/N0520320410/images/kseg_2022_324_559_F1.jpg
Fig. 1.

Location and geologic map showing the sampling sites of groundwater (GW), stream water (SW), reservoir water (RW), liquefaction water (LW) and seawater (OW) in the study area (Revised the geologic map of Um et al., 1964).

연구방법

시료채취 및 현장수질 측정

이 연구를 위하여 지하수 6점, 하천수 4점, 저수지 5점, 해수 1점, 액상화 유출수 2점 총 18점에 대해서 2차례(2017. 2, 2018. 1)에 걸쳐 시료를 채취하였다. 지하수공의 심도는 GW1은 자연용출수이며, GW2, 3, 4는 천부지하수(심도 10~30 m), GW5, 6은 심부지하수(심도 100 m)이다. 액상화 유출수의 경우 포항 지진(2017년 11월 15일)발생 직후 토양층에서 용출되는 곳에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지하수 시료는 일정 시간 양수 후 채취하였다. 모든 물 시료에 대해서 현장에서 수소이온농도(potential of hydrogen, pH),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용존산소함량(dissolved oxygen, DO), 수온 등을 Thermo사 Orion 5 star 모델의 휴대용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중탄산(HCO3) 함량은 0.05 N 농도의 HCl로 산중화적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물 시료에 대한 양이온, 음이온, 미량원소 성분분석을 위하여 채취된 시료는 0.45 µm 여과지를 이용하여 부유물질을 제거한 후, 각각 60 mL 폴리에틸렌 용기에 담아 보관하였다. 양이온 및 미량원소 분석용 시료는 용존이온 성분의 침전 등을 막기 위해 농질산을 적정량 첨가하여 pH 2 이하로 산성화하여 보관하였으며(Greenberg et al., 1992), 모든 물 시료는 분석전까지 냉장 보관하였다.

화학성분 및 동위원소 분석

주요 양이온(Ca, Mg, Na, K), Si 및 미량원소(Ba, Sr, Fe, Li, B, Al, Mn, Co, Ni, Cu, Zn, As, Rb, Mo, Ba, U)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센터의 원자흡광분광기(Unicam model 989, AAS), 유도결합쌍 플라즈마 원자방출분광기(ICP-mass optima 4300DV, ICP-AES), 유도결합쌍플라즈마질량분석기(Fison model PQ Ⅲ, ICP-MS) 등의 장비로 분석하였다. 음이온 성분(Cl, SO4, NO3, F)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산센터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 DIONEX사 ICS 3000)로 분석하였다.

물 시료에 대한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분석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센터의 안정동위원소 질량분석기(Stable Isotope Ratio Mass Spectrometer, Isoprime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δD와 δ18O 동위원소비는 표준평균해수(standard mean ocean water, SMOW)에 표준화한 천분율(‰)로 표시하였다.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의 분석 정밀도는 각각 약 ±0.1 ‰, 1.0 ‰이다.

결과 및 토론

현장수질 측정결과

연구지역의 물 시료 총 18점에 대한 현장수질 측정결과는 Table 1에서 정리하였다. Fig. 2는 지하수, 하천수, 저수지의 전기전도도와 pH에 대한 박스-휘스커 통계도이다. 저수지의 pH는 하천수와 지하수보다 낮은 산성의 특성을 보이며, 특히 RW3과 RW5 시료는 pH 4 내외의 강한 산성으로 전기전도도 역시 1,057~1,771 µS/cm 범위로 높은 값을 보인다. 저수지의 산성화는 인근에서 도로공사로 인해 절토사면의 제 3기층내에서 확인되는 황철석이 노출되어 강수에 의해 산성수가 생성되고, 이 산성수가 저수지로 유입되거나 공사시 발생하는 산성배수의 유입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곡강천 하천수의 전기전도도는 내륙에서 해안으로 향할수록 전기전도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곡강천을 따라 해수가 육지쪽으로 유입된 영향으로 보인다. 1, 2차 시료채취시기에 따른 현장수질 측정값은 일부 시료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 전반적으로 2차 지하수 시료는 1차에 비해 약간 높은 pH조건을 보이며, 전기전도도는 GW3, 4에서 크게 감소한 특성을 보인다.

주요 화학성분과 미량원소

연구지역 물 시료에 대한 주요 화학성분 및 미량원소는 Table 12에 제시되어 있다. Fig. 2는 지하수, 하천수, 저수지의 주요 이온 성분과 미량원소에 대한 박스-휘스커 통계도이다. 하천수와 저수지의 주요 이온 성분으로 Ca2+와 SO42-가 높은 함량으로 각각 24.4~198 mg/L 범위와 77.4~960 mg/L의 범위를 보인다. 지하수는 Na+K, HCO3, Cl 함량에서 저수지나 하천수에 비해 높은 값을 보인다. 시료채취 시기에 따른 화학성분의 변화는 지하수 GW3, 4에서 Ca2+, Mg2+, SO42-의 농도가 2차 시기에서 1차에 비해 뚜렷하게 감소한 특성을 보인다.

포항지진으로 발생된 액상화 유출수인 LW1의 주요 성분은 Ca2+ (52.3~8.3 mg/L), HCO3- (89.0~125 mg/L) 그리고 SO42- (66.1~142 mg/L)으로 인근의 하천수 SW4와 화학성분의 조성비와 유사하여 천부층 전이대로 유입된 하천수의 영향으로 보인다. LW2는 Na+ (200 mg/L), HCO3- (253 mg/L) 그리고 Cl- (171 mg/L) 성분이 높은 화학적 특성으로 하천을 따라 유입된 해수가 인접한 지하수로 확산된 상태에서 지진 발생시 지하수로부터 용출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후술 될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조성으로부터 지하수의 심도와도 관계가 있다. 미량원소로 Al, Mn은 산성화된 저수지에서 최대 18.9 mg/L과 21.5 mg/L의 높은 함량을 보인다. Fe는 지하수에서 최대 30.2 mg/L로 높은 농도를 보인다. 그 외 Zn, Ni, Co 등의 성분도 최대 1.9 mg/L로 높은 함량이다.

Table 1.

Geochemical compositions of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unit : mg/L)

Sample
ID.
Sampling
date
(Y/M/D)
pH ORP
(mV)
EC
(µS/cm)
DO
(mg/L)
T
(°C)
Ca2+ Mg2+ Na+ K+ Sr2+ Fe Si HCO3- SO42- Cl- NO3- F- CBE
(%)
OW1 17/11/27 8.09 30.7 81,200 0.77 12.2 337 866 10,500 462 7.03 0.03 0.14 144 2,816 18,248 0.90 0.89 -1.61
LW1 17/11/28 6.69 61.5 466 2.43 9.90 52.3 17.6 21.5 6.58 0.29 0.18 8.40 125 99.5 22.5 0.53 0.14 4.01
18/02/12 6.68 -3.90 506 0.96 - 58.3 21.4 22.6 6.27 0.30 N.D 8.22 89.0 142 33.0 5.30 0.16 3.32
LW2 17/11/27 7.67 114 1,088 0.99 12.8 32.4 8.45 200 10.9 0.37 0.30 11.7 253 66.1 171 0.09 0.47 4.36
GW1 17/12/01 5.25 41.7 667 3.47 - 51.6 20.5 54.1 4.36 0.36 0.02 12.4 16.8 238 30.6 0.61 0.18 4.86
18/02/12 7.18 2.40 624 3.64 6.20 55.8 21.4 56.0 3.91 0.33 0.01 7.99 61.0 228 34.2 1.01 0.13 2.51
GW2 17/12/01 6.43 62.3 1,046 4.41 14.0 74.5 31.3 106 20.3 0.54 12.4 20.5 113 294 94.6 0.16 0.03 3.53
18/02/12 6.58 22.7 957 3.12 10.2 75.3 30.7 89.6 17.6 0.51 2.24 18.0 85.4 315 86.4 0.16 0.05 1.10
GW3 17/12/01 7.12 47.4 2,617 4.23 18.4 526 87.3 88.1 13.9 7.53 1.45 5.88 291 1,523 19.2 3.55 0.13 0.72
18/02/12 7.44 3.20 1,657 2.44 7.60 222 38.3 68.9 6.72 2.59 0.03 8.58 255 538 38.7 3.61 0.17 2.53
GW4 17/12/01 6.64 102 579 3.72 11.8 52.1 25.4 35.4 11.4 0.34 0.10 19.9 59.5 194 21.3 6.26 0.08 -6.98
18/02/12 7.49 14.3 381 3.81 12.8 35.5 17.5 25.5 9.94 0.20 0.23 14.5 56.4 106 21.0 7.05 0.08 8.71
GW5 17/12/01 6.99 -62.6 630 2.95 13.4 34.0 19.8 74.2 6.03 0.35 30.2 22.1 357 0.74 31.8 0.07 0.28 -0.53
18/02/12 7.25 21.2 504 2.83 16.2 27.9 18.1 64.4 5.45 0.29 2.27 18.0 284 1.93 33 0.06 0.30 1.57
GW6 17/12/01 8.79 37.2 870 3.97 16.5 4.90 0.29 214 1.30 0.07 0.12 7.23 267 4.38 148 5.96 0.46 4.62
18/02/12 8.09 9.0 841 3.21 22.2 5.02 N.D 198 1.16 0.07 0.01 5.98 250 2.81 159 0.32 0.47 1.26
SW1 17/11/27 6.86 95.9 1,023 0.93 8.20 78.1 26.3 50.3 8.43 0.40 0.12 8.72 45.8 286 40.7 3.89 0.10 3.35
SW2 17/11/27 6.38 112 1,093 1.14 9.70 112 38.1 68.6 8.81 0.53 0.37 9.53 12.2 457 45.6 3.25 0.15 3.83
18/02/12 7.02 -39.5 961 0.97 2.30 94.9 35.1 80.3 7.84 0.42 0.69 7.71 45.8 394 65.5 6.56 0.23 1.79
SW3 17/11/27 8.36 45.8 398 1.85 11.9 39.8 12.5 28.4 4.95 0.24 0.07 3.74 73.2 87.0 27.3 2.97 0.11 6.67
18/02/12 7.39 -40.9 337 0.94 3.41 34.6 11.4 19.0 3.83 0.20 0.14 5.57 61.0 77.4 24.7 4.45 0.10 2.93
SW4 17/11/28 6.80 53.2 412 1.85 12.2 47.6 16.3 21.7 6.00 0.25 0.19 8.52 120 78.9 21.2 1.52 0.18 6.43
18/02/12 6.90 -18.5 419 1.16 4.80 46.8 16.8 19.2 4.36 0.23 2.07 9.62 90.0 107 24.6 0.02 0.12 2.88
RW1 17/11/27 7.67 61.2 395 1.07 10.7 39.4 11.3 22.1 8.79 0.19 0.15 6.10 22.9 133 19.9 0.14 0.16 4.80
18/02/12 6.46 -12.9 277 1.37 1.60 24.4 7.96 14.4 5.25 0.13 N.D 3.18 13.7 96.8 15.1 0.50 0.10 -0.86
RW2 17/11/27 6.07 123 1,212 0.56 9.80 149 50.8 49.9 11.4 0.76 0.37 8.05 19.8 563 33.4 0.26 0.27 4.01
18/02/12 6.17 -3.00 1,108 1.03 5.60 145 54.2 47.9 10.2 0.73 0.12 4.17 12.2 587 39.4 0.17 0.24 1.78
RW3 17/11/27 3.60 299 1,771 0.52 9.90 198 89.7 33.5 11.7 0.70 1.73 15.3 0 934 18.1 0.83 0.60 -2.44
18/02/12 3.82 74.0 1,463 0.91 3.60 101 98.7 33.4 10.1 0.68 0.91 13.0 0 960 21.1 0.84 0.73 -16.2
RW4 17/11/27 7.21 35.8 940 1.29 9.90 82.3 29.6 43.6 12.9 0.42 0.08 10.9 79.3 256 50.3 0.30 0.20 4.25
18/02/12 7.07 -17.5 753 1.07 7.70 93.5 33.5 32.0 10.6 0.44 0.16 7.18 80.9 300 33.6 0.20 0.21 3.13
RW5 17/11/27 3.97 293 1,196 0.73 11.5 122 40.2 46.6 10.7 0.77 0.57 14.5 0 576 31.5 N.D. 0.59 -4.82
18/02/12 4.13 65.4 1,057 0.86 3.20 119 41.1 49.3 11.8 0.71 1.26 14.0 0 573 37.8 0.24 0.61 -5.10

CBE: charge balance error.

Table 2.

Minor element concentration in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unit : µg/L)

Sample
ID.
Sampling
date
(Y/M/D)
Li B Al Mn Co Ni Cu Zn As Rb Mo Cd Ba U
OW1 17/11/27 410 9,361 181 60.2 0.76 5.27 9.47 62.9 4.78 326 22.3 0.26 29.6 4.88
LW1 17/11/28 35.2 69.1 1,053 3.13 12.1 0.65 18.9 1.10 5.25 0.44 <0.1 78.6 0.28 0.28
18/02/12 4.20 31.1 14.1 20.0 <0.1 6.44 0.95 13.5 <0.5 4.74 0.30 <0.1 78.5 0.09
LW2 17/11/27 244 120 225 0.29 0.94 0.22 10.2 72.8 6.37 19.0 <0.1 63.9 0.21 0.21
GW1 17/12/01 31.5 163 393 69.3 <0.1 86.6 1.88 164 <0.5 7.24 <0.1 1.07 43.3 0.23
18/02/12 30.8 165 108 34.6 0.74 11.3 0.77 23.1 <0.5 4.65 0.04 <0.1 19.2 0.29
GW2 17/12/01 6.20 70.5 13.4 2,322 6.40 7.78 1.77 162 <0.5 1.93 0.35 <0.1 165 0.02
18/02/12 5.62 63.5 7.62 2,070 5.59 9.80 3.41 166 <0.5 1.32 0.20 <0.1 127 0.08
GW3 17/12/01 203 416 8.90 5,297 1.72 6.53 8.38 69.3 1.90 20.5 2.51 <0.1 47.8 1.94
18/02/12 80.7 213 3.63 10.4 <0.1 2.19 0.99 188 <0.5 8.62 0.76 <0.1 28.2 1.28
GW4 17/12/01 15.2 71.6 24.2 764 1.26 2.55 4.77 96.0 <0.5 1.81 0.29 0.60 64.3 0.03
18/02/12 7.90 49.0 3.19 20.0 <0.1 1.77 1.02 55.1 <0.5 1.50 0.47 <0.1 33.4 0.03
GW5 17/12/01 14.5 119 11.3 766 <0.1 0.99 1.51 363 24.9 3.52 1.97 <0.1 120 0.01
18/02/12 15.3 110 2.34 620 <0.1 1.78 2.74 1,195 2.11 2.62 1.95 <0.1 63.1 0.06
GW6 17/12/01 341 210 14.2 26.7 <0.1 0.20 2.66 16.2 <0.5 1.05 2.76 <0.1 21.3 0.11
18/02/12 266 183 4.35 6.84 <0.1 0.17 1.39 14.7 <0.5 0.80 1.59 <0.1 60.0 0.11
SW1 17/11/27 23.1 118 32.7 2,733 13.7 74.7 0.65 186 <0.5 9.48 0.51 1.21 44.2 0.15
SW2 17/11/27 50.5 185 178 5,658 27.2 145 0.80 346 <0.5 14.3 0.17 2.53 29.0 0.08
18/02/12 37.2 211 8.50 2,090 7.65 64.2 0.88 173 <0.5 8.98 1.01 1.28 24.7 0.11
SW3 17/11/27 11.1 60.0 29.5 52.9 0.20 1.82 0.79 26.2 1.10 2.26 0.96 <0.1 58.2 0.18
18/02/12 5.32 43.4 6.10 23.0 <0.1 1.91 0.92 601 <0.5 1.54 0.41 <0.1 48.5 0.07
SW4 17/11/28 3.10 37.8 7.90 231 1.42 6.11 0.81 12.8 <0.5 4.26 0.44 <0.1 71.5 0.21
18/02/12 2.17 28.1 1.80 930 0.25 5.73 0.38 15.6 <0.5 3.30 0.20 <0.1 43.0 0.05
RW1 17/11/27 9.90 58.2 145 139 0.81 8.20 0.60 11.3 <0.5 8.25 0.55 <0.1 55.7 0.12
18/02/12 5.59 35.6 2.80 8.09 <0.1 3.45 0.56 41.0 <0.5 4.20 0.11 <0.1 38.2 0.01
RW2 17/11/27 41.2 131 484 1,347 10.1 94.8 0.78 246 <0.5 12.2 0.20 1.35 71.8 0.27
18/02/12 31.4 119 72.5 1,250 5.03 78.2 0.53 234 <0.5 8.60 0.11 1.47 32.6 0.10
RW3 17/11/27 78.3 112 8,819 21,447 268 821 33.2 1,906 2.80 17.7 0.04 17.6 49.2 9.54
18/02/12 59.5 93.1 6,273 16,160 208 672 25.7 1,806 2.56 13.2 0.04 15.4 32.6 5.69
RW4 17/11/27 37.5 82.5 29.4 1,476 2.91 32.5 0.92 15.4 1.63 8.78 1.16 <0.1 51.5 0.80
18/02/12 33.3 76.8 36.1 10.0 1.46 15.2 0.83 18.1 0.92 5.55 0.33 <0.1 34.0 0.68
RW5 17/11/27 50.8 100 18,941 4,608 104 338 5.15 1,148 3.93 17.8 0.02 16.4 39.6 2.51
18/02/12 34.2 82.7 11,420 3,860 77.3 250 5.09 684 3.86 14.4 0.03 7.21 31.0 1.57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4/N0520320410/images/kseg_2022_324_559_F2.jpg
Fig. 2.

Box-whisker plots showing the statistical variations of geochemical data of groundwater, stream water and reservoir water samples (1st (February, 2017) and 2nd (January, 2018)) collected in the study area.

수리화학적 유형

연구지역 지하수, 하천수, 저수지, 액상화 유출수, 해수에 대한 화학성분을 파이퍼도(Piper, 1944)에 도시하였다(Fig. 3). 일부 지하수(GW5, 6)를 제외한 지하수, 저수지, 하천수는 Ca-SO4 유형을 보인다. 일부 지하수와 액상화 유출수는 Ca-HCO3와 Na-HCO3유형을 보인다. 연구지역 지하수, 하천수, 저수지의 화학성분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자연적 반응, 해수유입, 건설공사주변에서 발생되는 산성배수의 유입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높은 SO4 농도의 지하수와 저수지는 황철석의 산화에 의한 영향으로 보인다. 하천수의 음이온의 유형은 하구부근(S1, S2)의 Cl(SO4) 유형에서 내륙(S3, S4)으로 향할수록 HCO3유형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볼 때 해수의 유입이 S1, S2 → S3 → S4의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액상화 유출수인 LW1과 LW2는 서로 다른 수리화학적 유형을 보여준다. LW1은 인접한 하천수 S4와 유사한 화학적 유형으로 하천수가 인접 충적층으로 혼합된 상태에서 지진 발생으로 액상화 수압으로 인해 충적층내 하천수 성분이 지표로 상승하여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하천 하류유역에서 확인된 액상화 유출수(LW2)는 하천으로부터 내륙으로 약 700 m 떨어진 지역으로 화학성분은 Na-HCO3(Cl)의 유형을 보인다. LW2의 높은 Cl 함량(171 mg/L)과 후술 될 동위원소 조성(지하수와 유사한 조성)을 고려할 때 하천을 따라서 내륙까지 유입된 해수가 하천에서 약 700 m 떨어진 지하수까지 확산되어, 이렇게 염수화된 지하수가 액상화 과정에서 지표부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4/N0520320410/images/kseg_2022_324_559_F3.jpg
Fig. 3.

Trilinear plot showing chemical type and interrelationship of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모든 물 시료에 대한 수리화학적 유형을 공간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지형도상에 Stiff 도로 제시하였다(Fig. 4). 곡강천을 중심으로 하부지역과 상부지역 수리화학적 유형의 차이가 뚜렷함을 보여준다. 하부지역의 지하수와 대부분의 저수지는 Ca-SO4의 유형으로 이온 성분의 함량이 대체로 높은 특징을 보이고, 하천 상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분함량으로 Na-Cl, Ca-HCO3의 유형을 보인다. GW2 지하수와 RW3 저수지가 다른 시료에 비하여 높은 Ca, SO4의 함량의 특성을 보인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4/N0520320410/images/kseg_2022_324_559_F4.jpg
Fig. 4.

Stiff diagram showing the relative contents (meq/L) of major ions of groundwater (orange), stream water (blue), reservoir water (green), liquefaction water (yellow) and seawater (red) in the study area. EP: epicenter of the Pohang earthquake (2017. 11. 15.).

산소-수소 동위원소

2017년 11월 27일에 채취된 연구지역 물 시료에 대한 산소-수소 동위원소 분석결과는 Table 3에 제시되어 있으며, 분석값은 δD-δ18O 상관 관계도에 도시하였다(Fig. 5). 해수(OW)는 δ18O와 δD 값이 0.20 ‰과 0.0 ‰을 각각 보인다. 지하수(GW), 지표수(SW), 저수지(RW), 액상화 유출수(LW)의 δ18O 값은 -8.82~4.23 ‰의 범위를 보이며, δD 값은 -59.2~-29.1 ‰의 범위를 보인다. 해수를 제외한 모든 물 시료는 GMWL (global meteoric water line; Craig, 1961)을 따라서 도시되며, 동위원소 조성은 저수지, 하천수, 지하수(액상화 유출수)의 순서로 동위원소의 결핍을 보여준다. GW6 지하수는 100 m 깊이의 심부 지하수로 가장 낮은 동위원소 조성을 보인다. 저수지는 GMWL 보다 약간 아래에 도시되며, 증발작용으로 인해 동위원소가 부화된 것으로 보인다.

Table 3.

δ18O and δD composition of all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Sample ID. δ18O (‰) δD (‰) Sample ID. δ18O (‰) δD (‰)
OW1 0.20 0.0 RW3 -4.70 -31.2
SW1 -5.91 -39.0 RW4 -5.20 -33.1
SW2 -6.50 -42.3 RW5 -4.99 -32.9
SW3 -6.17 -42.3 GW1 -7.25 -47.0
SW4 -5.84 -38.6 GW2 -5.99 -41.1
LW1 -5.64 -37.4 GW3 -6.60 -42.1
LW2 -7.91 -52.0 GW4 -6.88 -47.4
RW1 -4.67 -31.2 GW5 -6.60 -46.0
RW2 -4.23 -29.1 GW6 -8.82 -59.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g/2022-032-04/N0520320410/images/kseg_2022_324_559_F5.jpg
Fig. 5.

Relationship between δ18O and δD for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액상화 유출수(LW-1, LW-2)는 뚜렷이 다른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값을 보인다. 이는 액상화가 발생된 지점에 따라 물의 기원이 다르다는 것을 지시한다. LW-1의 경우 하천수와 비슷한 동위원소 조성을 보여주며, LW-2의 경우 지하수 동위원소 영역에 해당된다. 따라서 LW-1은 지진발생시 충적층으로 확산된 인근 하천수의 물이 용출된 것으로 보이며, LW-2는 심부지하수와 천부 지하수 동위원소 조성의 중간값을 보이며, 화학조성에서도 Na, Cl의 함량이 높아 일부 염수화된 심부와 천부 지하수가 혼합되어 용출된 것으로 보인다.

결 론

포항 흥해지역 지하수, 저수지의 물 시료의 pH는 각각 5.25~8.79, 3.60~7.67 범위로 산성에서 약 알칼리성의 범위를 보이며, 전기전도도는 각각 381~2,617 µS/cm, 277~1,771 µS/cm의 넒은 범위를 보인다. 특히 저수지 RW3과 RW5 물의 pH는 3.60~4.13으로 강산성의 특성과 1,057~1,771 µS/cm의 높은 전기전도도 값을 보인다. 이는 도로공사(토목공사)시 절토로 인해 지표로 노출된 황철석이 산화되면서 생성된 산성배수의 유입의 영향으로 보인다. 산성화된 물은 Al, Fe, Mn의 함량이 특징적으로 높아 산성배수의 수질 특성을 반영한다.

물 시료는 화학성분상 대부분 Ca-SO4(Cl) 유형에 속하며, 일부 지하수는 Ca-SO4(HCO3, Cl), Na-HCO3(Cl, SO4)의 유형을 보인다. Ca-SO4(Cl)의 유형을 보이는 곡강천 물은 하류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내륙 약 8 km까지 확산되어 있고, 염수는 곡강천 인근 충적층과 일부 암반 지하수까지 확산된 것으로 확인된다. 수문지질 경계를 이루는 곡강천을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서로 다른 수질화학 특성을 보인다. 곡강천 하부의 저수지와 지하수는 높은 전기전도도와 산성화의 특성, 그리고 Ca-SO4 유형을, 반면 상부는 전기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Na(Ca)-(HCO3, Cl) 유형의 특성이다.

물 시료는 δD와 δ18O 상관도에서 순환수선(GMWL)에 근접하여 도시되며, 저수지, 하천수, 지하수의 순서로 결핍(deficiency) 특성을 보인다. 저수지는 증발작용으로 인해 동위원소가 부화(enrichment)된 것으로 보인다. 액상화 유출수 2점의 시료는 서로 다른 동위원소 조성과 화학성분으로 볼 때, LW1은 인근 하천수와 전이대를 형성하는 충적층 지하수가 용출된 것으로 보이며, LW2는 염수화가 일부 진행된 심부와 천부 지하수가 용출된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과제번호: 20201510100020)과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의 지원(No. 2021R1F1A1060573)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Craig, H., 1961, Isotopic variations in meteoric waters, Science, 133(3465), 1702-1703. 10.1126/science.133.3465.170217814749
2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Proceeding, 21(1), 578-581 (in Korean).
3
Gahng, G., 2019, Characteristics of liquefaction phenomena induced by 2017. 11. 15 Pohang earthquake,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Gang, B., Hwang, B., Kim, H., Cho, W., 2019, Soil depth information DB construction methods for liquefaction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Geo-Environmental Society, 20(3), 39-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Greenberg, A.E., Clesceri, L.S., Eaton, A.D.,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 The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541p.
6
Kirby, C.S., Thomas, H.M., Southam, G., Donald, R., 1999, Relative contribution of abiotic and biotic factors in Fe(II) oxidation in mine drainage, Applied Geochemistry, 14(4), 511-530. 10.1016/S0883-2927(98)00071-7
7
Kock, D., Schippers, A., 2006, Geomicrobiological investigation of two different mine waste tailings generating acid mine drainage, Hydrometallurgy, 83(1-4), 167-175. 10.1016/j.hydromet.2006.03.022
8
Kumar, A.N., Carsten, S., Keith, L.B., 2007, Modelling seawater intrusion in the Burdekin Delta Irrigation Area, North Queensland, Australi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89(3), 217-228. 10.1016/j.agwat.2007.01.008
9
Nordstrom, D.K., 1982, Aqueous pyrite oxidation and the subsequently formation of secondary minerals, Acid Sulfate Weathering, 10, 37-56.
10
Park, S.Y., Chang, D.S., Kim, Y.S., 2018, Assesment of liquefa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Annual Conference, Daegu, 221.
11
Piper, A.M., 1944, A graphic procedure in the 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water-analyses, Transaction, American Geophysical Union, 25(6), 914-923. 10.1029/TR025i006p00914
12
Seo, J.M., Jin, K.H., Kang, J.S., Jo, J.H., Shin, H.M., Choi, K.C., Hong, C.O., 2012, Accelerating of soil salinization in plastic film house complex by sodification of Sumjin River water,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Busan, 578-581.
13
Sim, Y.S., 2000, The causes,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about drainwater in the mining waste sites, Korea Coal Society, 32, 32-39 (in Korean).
14
Um, S.H., Lee, D.W., Bak, B.S., 1964,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Poha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43p.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