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Prospecting of Silica of Naudanda Quartzite, West Central Nepal
    Mani Khanal, Naresh Kazi Tamrakar, Dinesh Raj Sharma
    As the importance of silica is increasing in digital world and other sector, prospecting of silica is the initial process for silica … + READ MORE
    As the importance of silica is increasing in digital world and other sector, prospecting of silica is the initial process for silica exploration. For prospecting of silica, the Naudanda Quartzite was studied thoroughly. The potential of silica content in the Naudanda Quartzite is presented in very few reports and literatures. Therefore, the study was carried out along the Siddartha Highway and other local roads around the Bhalu Pahad area. The area comprises of mainly phyllite, metasandstone and medium- to coarse-grained orthoquartzite of the Lesser Himalayan metasedimentary sequence. Here orthoquartzite is targeted for the prospecting of silica as quartzite constitutes more than 90% quartz mineral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prospect the silica resource and compute the mineral reserve in the area. From the route map prepared at 1:2,000-scale along the Bhalu Pahad-Haripala section and columnar section, it is found that the true thickness of the Naudanda Quartzite is 760 m. A geological map was prepared at 1:25,000 scale, and 15 quartzite samples were taken from suitable locations preventing stratigraphical reoccurrence. Five samples were taken randomly from folded zone. Silica grains were counted on the basis of fleet method after thin section preparation of 15 individual samples. More than 95% silica is present on an average. Again, silica content of 5 samples out of 15 were tested chemically and found more than 95% silica concentration. For reserve calculation, silica grade was taken 95% and the reserve was computed on the basis of three cross-sections. It is found that the total volume tonnage is 2.6 billion ton of silica content, and concluded that the silica present in the rock is economic and minable.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Seismic Wave Velocity Characteristics of the Mudeungsan Tuff under the Influence of Freeze-Thaw

    동결-융해에 따른 무등산 응회암의 탄성파 속도 특성

    Seong-Seung Kang, Jeongdu Noh

    강성승, 노정두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the Mudeungsan tuff by conducting an artificial weathering experiment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

    본 연구는 무등산 국립공원 주상절리대의 장기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등산 국립공원 기후 조건을 고려한 인공풍화 시험을 실시해 무등산 응회암의 물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 READ MORE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the Mudeungsan tuff by conducting an artificial weathering experiment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to evaluate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columnar jointing in the tuff. The climate of Mudeungsan National Park over 20 years suggests the temperature conditions for freeze-thaw are -20 to 30°C. The change in tuff properties due to weathering were estimated by measuring the elastic wave velocity, which was measured after every 40 freeze-thaw cycles. Based on the origin of the Mudeungsan tuff and fracture distribution in the tuff, the elastic wave velocity in samples from 24 locations was measur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and radial directions. The axial elastic wave velocity of the Mudeungsan tuff is 5,187~5,367 m/s, and the radial elastic wave velocity is 4,001~5,290 m/s. As a result of 200 freeze-thaw cycles, the axial elastic wave velocity decreased by 5.53% for sample MT-1, 4.89% for MT-2, and 5.36% for MT-3. The radial elastic wave velocity decreased by 20.00% for MT-1, 17.02% for MT-2, and 19.84% for MT-3. The decrease in elastic wave velocity due to the freeze-thaw cycles is greater for low values of elastic wave velocity. For the axial elastic wave velocity, the weathering is accelerated after 120 cycles and, for the radial elastic wave velocity, weathering actively progresses from the start of the freeze-thaw cycles. In summary, for a low elastic wave velocity, experimental weathering results in a large decrease in elastic wave velocity. In addition, the Mudeungsan tuff and its columnar joints have a distinct anisotropy.


    본 연구는 무등산 국립공원 주상절리대의 장기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등산 국립공원 기후 조건을 고려한 인공풍화 시험을 실시해 무등산 응회암의 물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약 20년간의 무등산 국립공원 기후를 조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동결융해 온도 조건을 -20~30°C로 설정하였다. 인공풍화에 따른 물성 변화는 탄성파 속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동결융해 40회 반복마다 측정하였다. 무등산 응회암의 생성기원과 균열 분포 등을 고려하여 탄성파 속도는 시료 축방향의 면과 방사방향을 일정 간격으로 구분하여 생성된 교차점 24곳에 대해 측정하였다. 초기 암석의 축방향 탄성파 속도는 5,187~5,367 m/s, 방사방향 속도의 경우 4,001~5,290 m/s로 나타났다. 동결융해 200회 반복 시험 결과 축방향 탄성파 속도는 MT-1는 5.53%, MT-2는 4.89%, MT-3은 5.36% 감소하였고, 방사방향 탄성파 속도의 경우 MT-1은 20.00%, MT-2는 17.02%, MT-3은 19.84% 감소하였다. 동결융해 반복에 따른 무등산 응회암의 탄성파 속도 감소율은 탄성파 속도가 느릴수록 크게 나타났다. 축방향 속도는 동결융해 120회 반복 이후 풍화의 가속화가 발생하였고, 방사방향의 경우에는 동결융해 시험 시작과 동시에 풍화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를 종합하면 탄성파 속도가 느리면 인공풍화에 의한 탄성파 속도 감소량이 크게 나타나 풍화에 취약한 것으로 사료 된다. 이를 통하여 무등산 응회암과 주상절리는 생성 기원 등으로 인한 이방성이 뚜렷한 것으로 판단되고 무등산 국립공원 주상절리대 현장 조사 및 안정성 평가 시 이를 면밀히 조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Methods for Ground Subsidence in Korea

    국내 함몰형 지반침하 평가방법의 비교 분석

    Hyun-Bae Park, Seong-Woo Moon, Sejeong Ju, Jeungeum Lee, Yong-Seok Seo

    박현배, 문성우, 주세정, 이정음, 서용석

    To predict the ground subsidence caused by mines, various evalu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cases of ground subsidence in Korea, and the …

    광산에 의한 지반침하 발생여부 및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국내의 지반침하 사례를 대상으로 침하평가 방법들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 ‧ 분석하였다. 비교적 예측이 …

    + READ MORE
    To predict the ground subsidence caused by mines, various evalu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cases of ground subsidence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ntinuous subsidence, which is relatively easily and accurately predicted, was excluded in this analysis. The stress arch - volumetric expansion method, limit equilibrium method, numerical analysis, probabilistic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Korea Mine Rehabilitation and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 (KOMIR) were applied to 36 subsidence cases, including subsidence location, width, and depth, and goaf width, depth, and incline data. The stress arch - volumetric expansion method was the most accurate with an accuracy of ~92%. In the case of the KOMIR method, the regression model is 86.1% accurate, but somewhat lower in accuracy using a triangular pyramidal volume. The stress arch - volumetric expansion and KOMIR methods have the disadvantage of evaluating whether subsidence occurs or not. In the case of the numerical analysis, the accuracy is 72.3% when estimating the subsidence depth, but is slightly lower (55.8%) when estimating the subsidence width. The probabilistic and limit equilibrium methods have similar accuracies of 50.8~63.7%. Giv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subsidence occurs, and the subsidence location, width, and depth with each method, it is recommended to apply various methods when evaluating sinkhole-type subsidence.


    광산에 의한 지반침하 발생여부 및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국내의 지반침하 사례를 대상으로 침하평가 방법들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 ‧ 분석하였다. 비교적 예측이 쉽고, 정확성이 검증된 연속형(트러프형) 침하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불연속형(함몰형) 침하 사례 36건을 대상으로 침하지 위치, 폭, 깊이, 지층분포, 채굴적의 폭, 깊이, 경사, 심도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응력아치-체적팽창법, 한계평형법, 수치해석법, 확률론적 해석법, 한국광해광업공단 개발 해석법을 적용하였다. 평가 결과, 정확도가 약 92%로 응력아치-체적팽창법이 가장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광해광업공단 개발 해석법의 경우 회귀모형이 86.1%로 높은 편에 속하나 응력아치-체적팽창법과 한국광해광업공단 개발 해석법은 함몰형 침하의 발생 유무만 평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수치해석법의 경우 침하지의 깊이를 추정할 때 72.3%의 높은 정확도를 보이나 침하지 폭 추정 시에는 55.8%로 다소 낮게 나타난다. 확률론적 분석법과 한계평형법은 50.8~63.7% 범위 내로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인다. 각 분석방법에 따라 지반침하 발생 유무, 위치, 폭, 깊이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함몰형 침하 평가 시에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복수로 적용하여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Characteristics of Pyrophyllite Powder Molding Material by High-Speed, High-Pressure Dynamic Compression Technology

    고속고압 동적 압축 기술에 의한 연납석 분말 성형 재료 특성

    Jeongdu Noh, Sangyeon Ban, Taeyoon Oh, Jangbok Wi, Seong-Seung Kang

    노정두, 반상연, 오태윤, 위장복, 강성승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terial properties of specimens made from pyrophyllite and pyrophyllite-aluminum mixed powders using high-speed, high-pressure dynamic compression …

    본 연구는 고속고압 동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연납석 및 연납석-알루미늄 혼합 분말 성형 시편을 제작하고, 그 시편에 대한 재료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terial properties of specimens made from pyrophyllite and pyrophyllite-aluminum mixed powders using high-speed, high-pressure dynamic compression technology. The aluminum powder exhibited a highly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ranging from 10 to 100 µm, whereas the pyrophyllite powder displayed four distinct particle size distributions: 0.1~1 µm, 1~10 µm, 80~100 µm, and 200~1,000 µm. Using high-speed, high-pressure dynamic compression technology with a drop time of approximately 0.34~0.4 seconds and a dynamic load of about 207 tonf, it was possible to fabricate pyrophyllite and pyrophyllite-aluminum mixed powder specimens with a volume of about 548 mm². The Shore hardness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specimen BG100 had an average of 43.7, BG90 had an average of 33.2, and BG85, BG80, BG75, and BG70 had an average of 31.0, indicating that the specimen with the least aluminum content exhibited the highest Shore hardness value.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revealed mass losses at two points: the first mass loss occurred at around 270°C with a loss of approximately 1.45%, and the second mass loss occurred at around 600°C, where BG70 and BG80 showed a mass loss of about 2.53%, and BG75, BG85, and BG90 showed a mass loss of about 3.43%.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icrostructure of the specimens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mixing ratio, with three elements—O, Si, and Al—being detected in all specimens. The mapping analysis of BG90 revealed an oxygen weight ratio of 50.80%, silicon weight ratio of 37.36%, and aluminum weight ratio of 11.85%. In the case of BG85, the results were 43.09% oxygen, 43.50% silicon, and 13.41% aluminum; for BG80, the results were 44.83% oxygen, 40.30% silicon, and 14.87% aluminum; for BG75, the results were 44.71% oxygen, 35.49% silicon, and 19.80% aluminum; and for BG70, the results were 34.95% oxygen, 35.73% silicon, and 29.32% aluminum.


    본 연구는 고속고압 동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연납석 및 연납석-알루미늄 혼합 분말 성형 시편을 제작하고, 그 시편에 대한 재료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알루미늄 분말의 입도는 10~100 µm 내로 매우 균일하게 분포하는 반면, 연납석 분말은 0.1~1 µm, 1~10 µm, 80~100 µm, 200~1,000 µm 등 크게 4가지 입도분포를 보였다. 낙하 시간은 약 0.34~0.4초, 동적하중 약 207 tonf의 고속고압 동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체적이 약 548 mm2인 연납석 및 연납석-알루미늄 혼합 분말 시편 제작이 가능하였다. 쇼어 경도 측정 결과, 시편 BG100은 평균 43.70, BG90은 평균 33.20, BG85, BG80, BG75, BG70 등은 평균 31.00으로, 알루미늄이 가장 적게 함유된 시편의 쇼어 경도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열중량 분석 결과, 2지점에서 질량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1차 질량 손실은 약 270°C에서 약 1.45% 발생하였고, 2차 질량 손실은 약 600°C에서 BG70과 80은 약 2.53%, BG75, 85, 90은 약 3.43% 질량 손실이 발생함을 보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배합비에 따라 시편의 미세구조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시편 모두에서 O, Si, Al 등 3개의 원소가 검출되었다. BG90의 맵분석 결과 산소 중량비는 50.80%, 규소 중량비는 37.36%, 알루미늄 중량비는 11.85%로 분석되었다. BG85의 경우 산소 43.09%, 규소 43.50%, 알루미늄 13.41%, BG80의 경우 산소 44.83%, 규소 40.30%, 알루미늄 14.87%로 나타났다. BG75의 경우 산소 44.71%, 규소 35.49%, 알루미늄 19.80%, BG70은 산소 34.95%, 규소 35.73%, 알루미늄 29.32%로 나타났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Distribu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Discontinuities in Deep Drillcore

    심부시추코어를 활용한 불연속면의 분포 특성 및 통계학적 해석

    Junghae Choi, Youjin Jung, Dae-Sung Cheon

    최정해, 정유진, 천대성

    This study undertook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fractures in deep drillcore from a Precambrian metamorphic complex on the north …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에 위치한 선캄브리아기 변성암 복합체를 대상으로 심부 시추코어의 절리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절리의 분포 심도, 경사각, 그리고 …

    + READ MORE
    This study undertook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fractures in deep drillcore from a Precambrian metamorphic complex on the north face of Hongcheon-gun, Gangwon-do, Korea. The fracture distribution with depth, inclination of fractures, and grain size in the fracture zone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 techniques applied to derive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fracture intervals. Analysis of the inclination angles of fracture planes showed that sub-horizontal fractures are dominant, and fracture spacing is mainly ≤0.5 m, with a median of 0.09 m, first quartile of 0.04 m, and third quartile of 0.18 m, indicating very dense fracture development. Statistical analysis of joint properties was undertaken with fitting using fiv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double Weibull, exponential, generalized logistic, gamma, and lognormal). The lognormal distribution (sum of squared errors, SSE = 2.80) yielded the best fit based on the sum of residual squares.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th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deep bedrock in the Hongcheon area is important for various geotechnical applications such as groundwater flow modeling, slope stability assessment, and underground structure design.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combine in situ stress measurements and geophysical survey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development and the local stress field.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에 위치한 선캄브리아기 변성암 복합체를 대상으로 심부 시추코어의 절리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절리의 분포 심도, 경사각, 그리고 파쇄대 내 파편입자 크기를 측정한 후, 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절리 간격의 확률분포를 도출하였다. 절리면의 경사각 분석 결과, 아수평절리가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절리면 간격 분석에서는 0.5 m 이하의 간격이 지배적이었으며, 중위수 0.09 m, 제1사분위수 0.04 m, 제3사분위수 0.18 m로 나타나 매우 조밀한 절리 발달 양상을 보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double Weibull, exponential, generalized logistic, gamma, lognormal 등 5가지 확률밀도함수와의 피팅을 수행하였으며, 잔차제곱합(sum of squared errors, SSE) 기준 lognormal 분포(SSE = 2.80)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홍천 지역 심부 암반의 절리 특성을 정량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지하수 유동 모델링, 사면 안정성 평가, 지하 구조물 설계 등 다양한 지질공학적 응용 분야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현장 응력 측정 및 지구물리학적 탐사 기법을 병행하여 절리 발달과 현지 응력장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991-2024):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nd Network Analysis

    “지질공학”(1991-2024)의 연구동향 분석: 잠재 디리클레 할당 및 네트워크 분석

    Taeyong Kim, Hyerim Lee, Minjune Yang

    김태용, 이혜림, 양민준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JEG), a leading academic journal in the field of engineering geology in South Korea, was first published …

    국내 지질공학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지인 “지질공학”은 1991년에 창간되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학술 활동 및 다양한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

    + READ MOR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JEG), a leading academic journal in the field of engineering geology in South Korea, was first published in 1991 and has since been publishing academic papers and research findings. While several literature reviews have been undertaken on specific research areas in recent decades, comprehensive reviews focusing on JEG have been relatively limited.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pplied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model to analyze the main research topics and trends, and undertook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opics over different periods. Results for the LDA indicate seven key research topics categorized into three trends: Classic, Emerging and Stable topics. Classic topics include ‘Geophysics’ and ‘Structural geology’, which were major subjects in the early years, with their focus shifting to other areas over time. Emerging topics such as ‘Hydrogeology’ and ‘Geohazards’ have gained prominence in recent years. Stable topics including ‘Geotechnical structures’, ‘Geomechanics’, and ‘Environmental geology’ have maintained consistent research interest.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Structural geology was the central topic prior to 2008, while Geotechnical structures became the focal point of research after 2008, with a shift in research foc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research trends and the development of JEG, providing insights for the setting of future research directions.


    국내 지질공학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지인 “지질공학”은 1991년에 창간되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학술 활동 및 다양한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특정 분야를 주제로 한 문헌 고찰 연구를 수행해 왔으나, 학술지 “지질공학”을 대상으로 수행한 문헌 고찰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모델을 적용하여 연구 주제 분류 및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시대별 주제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총 7개의 연구 주제로 분류되었으며, 3가지 연구동향(Classic topic, Emerging topic, Stable topic)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Classic topic에는 “지구물리학”과 “구조지질학”으로 분석되었으며, 초기에는 주요 논의 주제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구 비중이 감소하였다. Emerging topic은 최근 연구가 활발한 “수리지질학”과 “지질재해”로 분석되었으며, ‘Stable topic’은 지속적으로 연구 비중이 유지된 “지반 구조물”, “지반 역학”, “환경지질학”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2008년 이전에는 “구조지질학”이 중심 주제였으나, 2008년 이후 “지반 구조물”분야로 중심 주제가 이동하며 연구의 초점이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학술지 “지질공학”의 연구 흐름과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Conical Slope Stability of Tertiary Basalt Based on the Geological Cross-Sections

    지질횡단면을 활용한 원추형 현무암 비탈면 안정성

    Myeong-Hyeok Ihm, Sung-Pil Hwang, Byung-Suk Park, Jun-Sang An, Woo-Seok Kim

    임명혁, 황성필, 박병석, 안준상, 김우석

    This study investigated a cut-slope surface containing Tertiary faults, representing a conical-shaped slope with strike varying from N44°E to NS, N50°W, and …

    연구 대상은 신생대 제3기 현무암 지층과 단층 및 파쇄대가 다수 발달하고 있는 절취 암반 비탈면으로서 법면의 주향이 다양하게 변하는 원추형 형상을 나타낸다. …

    + READ MORE
    This study investigated a cut-slope surface containing Tertiary faults, representing a conical-shaped slope with strike varying from N44°E to NS, N50°W, and finally N70°E. The slope consists mainly of basalt, with discontinuities in the slope including faults, fault zones, fracture zones, shear joints, and extension joints. The type and scale of failure vary with the strike of the slope and the strikes of discontinuities, with plane and wedge failure predominating. Based on face-mapping data, SMR (slope mass rating), rock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alysis of stereonet projections and geological cross-sections, and critical equilibrium analysis, optimal slope stability determination was found to involve the countermeasure method, the slope gradient relief method, the green soil surface treatment method, and a fall prevention measure. After application of the countermeasure method, both dry and wet slope conditions exceeded allowable safety factors. It is expected that the preparation of geological cross-sections of various representative section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lope, and the application of corresponding countermeasure methods, will be reasonable tools for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slope stability. If the strike of the slope varies wide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geological cross-sections, and the section used for critical equilibrium analysis must be established as the basic section.


    연구 대상은 신생대 제3기 현무암 지층과 단층 및 파쇄대가 다수 발달하고 있는 절취 암반 비탈면으로서 법면의 주향이 다양하게 변하는 원추형 형상을 나타낸다. 비탈면 내 불연속면은 단층과 단층대 및 파쇄대, 전단절리 및 인장절리가 발달하며, 구간별로 파괴의 유형과 규모는 비탈면 및 불연속면의 배향에 따라 다양하며, 평면파괴와 쐐기파괴가 우세하다. 비탈면 현황도 자료 및 비탈면 암반분류(slope mass rating, SMR), 암석의 물성 및 역학시험, 평사투영법, 지질횡단면도 분석 및 한계평형해석 등을 검토한 결과, 3개의 대표 단면 모두 허용 안전율 미달로 대책공법이 요구되었다. 안전성, 경제성, 시공성 등을 고려한 비탈면 안정성을 위해서는 사면구배완화공법과 함께 녹생토 표면처리 공법 및 낙석방지책 설치를 대책공법의 최적 방안으로 제시하며 적용 후의 비탈면 안전율은 모두 허용안전율 이상이었다. 비탈면 현황도 및 비탈면에 대해 수직인 여러 대표 구간의 지질횡단면도 작성, 대표단면으로 지질횡단면을 이용하여 한계평형 해석 및 대책공법에 대한 제시는 비탈면 3차원 해석과 안정성 검토에 관해 주요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원추형 비탈면과 같이 주향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경우는 다수의 지질횡단면도 작성이 필요하며, 한계평형해석을 위한 대표 단면은 구간별로 지질횡단면도를 기본도면으로 설정해야 한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Assessing Landslide Risk in Relation to Rainfall Frequency and Duration under the SSP5-8.5 Climate Change Scenario

    SSP5-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강우재현빈도-강우지속시간에 따른 토사재해 위험도 변화 분석

    Man-Il Kim, Jang-Gyeong Kim, Young-Douk Joung, Kyeong-Su Kim

    김만일, 김장경, 정영덕, 김경수

    Landslide risk is influenced by internal factors such as terrain, geology, soil composition, and forest cover,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rainfall …

    토사재해의 발생인자는 지형, 지질, 토질, 산림 등과 같은 내적 인자와 강우, 지진 등과 같은 외적 인자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 …

    + READ MORE
    Landslide risk is influenced by internal factors such as terrain, geology, soil composition, and forest cover,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rainfall and seismic activity. In particular,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due to climate change and changes in terrain due to urban sprawl result in increased landslide risk,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study analyzes in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landslide risk using existing spatial data and examines changes in rainfall under the SSP5-8.5 climate change scenario. Rainfall intensity was evaluated across different frequencies and durations, and the landslide risk was assessed by applying rainfall infiltration models to mountain slopes. The analysis reveals that with increasing rainfall duration (1, 6, 12, 18, and 24 h) for an event with a recurrence interval of 10 yr rainfall intensity decreases. However, for shorter rainfall durations (1 h), the intensity increases with the event frequency (10, 20, 50, and 100 yr). Infiltration analysis further shows that with prolonged rainfall, the proportion of areas with a safety factor of 1.3 or higher decreases, thereby raising the landslide risk.


    토사재해의 발생인자는 지형, 지질, 토질, 산림 등과 같은 내적 인자와 강우, 지진 등과 같은 외적 인자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한 강우사상 변화, 생활권 확장에 따른 지형 변화 등은 직간접적으로 토사재해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 인자는 기존의 공간정보 자료를 활용하고, 외적 인자인 강우사상 변화를 기후변화 시나리오 SSP5-8.5인 극한조건을 적용하여 강우재현빈도별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강우강도를 분석하고, 산지사면 내 강우 침투해석 조건을 적용하여 토사재해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재현빈도(10년)에 대한 강우지속시간(1, 6, 12, 18, 24시간)이 길어질수록 강우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우재현빈도별(10, 20, 50, 100년)에 대한 강우지속시간 1시간의 강우강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적용한 침투해석 분석 결과에서는 강우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기준안전율 1.3 이상의 면적비율이 감소하면서 토사재해 위험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view

    A Review of Image Analysis Techniques for Investigating Solute Transport in Porous Media

    비파괴적 기법을 활용한 다공성 매체에서의 용질 이동 메커니즘 분석에 대한 고찰

    Seonggan Jang, Taeseop Kim, Changmin Kim, Minjune Yang

    장성간, 김태섭, 김창민, 양민준

    This study reviewed image analysis techniques used in non-destructive investigations of solute transport mechanisms in porous media during contaminant transport. Commonly employed …

    본 논문은 오염 수리지질학 분야에서 다공성 매질 내 용질 이동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한 비파괴적 방법 중 하나인 이미지 분석법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

    + READ MORE
    This study reviewed image analysis techniques used in non-destructive investigations of solute transport mechanisms in porous media during contaminant transport. Commonly employed image analysis methods include X-ray imaging, light-transmission visualization, and light-reflection visualization using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These techniques provide precise, high-resolution data on solut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fluid flow dynamics, and multiphase system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without alteration of the experimental setup, they provide accurate insights into solute transport mechanisms. We outline the principles, applications,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each method, and explore their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and prediction of solute transport. We also examine case studies in which these methods have been effectively applied. This review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image analysis techniques can contribute to addressing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groundwater contamination.


    본 논문은 오염 수리지질학 분야에서 다공성 매질 내 용질 이동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한 비파괴적 방법 중 하나인 이미지 분석법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분석법으로는 X-ray를 활용한 X-ray 영상법, UV 또는 가시광선을 활용한 광 투과 시각화 및 광 반사 시각화가 있다. 이러한 이미지 분석법은 용질 농도 분포, 유체 흐름 역학 및 다상 시스템에 대한 정밀한 고해상도 데이터를 제공하며, 실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함으로써 용질 이동 메커니즘에 보다 정확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이미지 분석법의 개요, 적용, 장점 및 한계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이 용질의 이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방법들이 적용된 연구 사례들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 분석법이 지하수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