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Relative Settlement Analysis of Soft Ground

    연약지반의 상대적 침하 거동 분석

    Young-Jun Kwack, Heui-Soo Han

    곽영준, 한희수

    Instruments are installed in soft ground improvement projects to manage economic and safe construction. When analyzing data, the amount of settlement data …

    연약지반 개량공사 시 계측기를 설치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데이터 분석 시 시간에 따른 침하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체적인 지반 침하 거동을 …

    + READ MORE
    Instruments are installed in soft ground improvement projects to manage economic and safe construction. When analyzing data, the amount of settlement data over time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overall ground settlement behavior, but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measurement points. Therefore, to analyze the relative compressive settlement behavior between measurement points, the settlement amount and velocity were processed and defined as the mean settlement difference index (ASi,j) and the slope difference index (SDIi,j). Plotted in the mean settlement difference index - slope difference index (ASi,j-SDIi,j) coordinate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compaction subsidence behavior between the measuring poi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ing points in the average subsidence difference index - slope difference index coordinate system moved to area 1 as the compaction was completed. By continuously plot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observation point in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system, the relative settlement behavior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s was analyzed, and it wa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ettlement behavior of the two measurement points was stable or unstabl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path.


    연약지반 개량공사 시 계측기를 설치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데이터 분석 시 시간에 따른 침하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체적인 지반 침하 거동을 파악할 수 있지만, 계측지점 간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계측지점 간의 상대적인 압밀침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침하량과 속도를 가공하여 평균 침하량 차이 지수와 기울기 차이 지수로 정의한 후, 평균 침하량 차이 지수 - 기울기 차이 지수(ASi,j-SDIi,j) 좌표계에 도시하였다. 계측지점 간 상대적인 압밀침하 거동 분석결과 평균 침하량 차이 지수 - 기울기 차이 지수 좌표계에 나타낸 계측지점 간의 관계가 압밀이 완료됨에 따라 영역 1로 이동하였다. 관측점의 이동 경로를 해당 좌표계에 연속적으로 나타냄으로써 계측지점 간의 상대적인 압밀침하 거동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동경로 방향에 따라 두 계측지점의 압밀침하 거동관계가 안정한 상태인지 불안정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 COLLAPSE
    30 June 2023
  • Research Article

    Drought Assessment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Streamflow Drought Index in Yeoncheon Region

    연천지역의 표준 강수 지수와 하천 유량 가뭄지수를 이용한 가뭄 평가

    Il Hwan Kim, Joo-heon Lee, Il-Moon Chung

    김일환, 이주헌, 정일문

    Long-term droughts and frequent spring droughts are causing damage to crops, which are the means of livelihood of residents of the Yeoncheon …

    장주기의 가뭄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봄철 가뭄으로 연천지역 주민의 생계 수단인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연천의 가뭄에 대한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강수, 하천 …

    + READ MORE
    Long-term droughts and frequent spring droughts are causing damage to crops, which are the means of livelihood of residents of the Yeoncheon region. To analyze the degree of drought in Yeoncheon, the ratio of monthly precipitation and discharge was reviewed through observed data,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streamflow drought index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drought analysis using precipitation and discharge observation stations near the Yeoncheon basin, it was analyzed that the drought that occurred in 2014 was common to all drought indices and that drought occurred continuously until 2019, either large or small. In the case of drought indices with a duration of 12 months, it is expected that the damage caused by the drought would be severe as the drought period lasted 24 months. In order to manage drought damag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 current state of drought. In order to cope with drought in advance, it is urgent to implement an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strategy for rivers and waterwork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degree and duration of drought.


    장주기의 가뭄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봄철 가뭄으로 연천지역 주민의 생계 수단인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연천의 가뭄에 대한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강수, 하천 유량 자료를 통해서 월별 유량 비율 등을 검토하였으며, 표준 강수 지수와 하천 유출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연천군 유역 인근의 강수, 유량 관측소를 활용하여 가뭄 분석을 진행한 결과 모든 가뭄지수에서 공통적으로 2014년에 발생한 가뭄이 2019년까지 크거나 작게 지속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기간 12개월의 가뭄지수의 경우 가뭄기간이 24개월이 지속됨에 따라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뭄 피해를 대처하기 위해 가뭄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뭄의 정도 및 지속 기간에 따른 하천, 수공 구조물 등의 통합 운영관리 전략을 수행하는 것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June 2023
  • Research Article

    Hydrochemical and Microbial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Spring,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at Samtong in Cheorwon, South Korea

    강원도 철원 샘통과 주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리화학 및 미생물 군집 특성 연구

    Han-Sun Ryu, Jinah Moon, Heejung Kim

    유한선, 문진아, 김희정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ommunities of spring (Samtong),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Cheorwon, Korea, were analyzed. Field surveys and water quality …

    본 연구에서는 철원 샘통과 그 일대의 지하수 및 지표수의 지구화학 및 미생물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2022년 12월 15일 철원 샘통 5개, 지하수 …

    + READ MORE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ommunities of spring (Samtong),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Cheorwon, Korea, were analyzed. Field surveys and water quality analyses were undertaken at 10 sampling points for five spring, two surface, and three groundwater samples on 15 December 2022. Hydr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most water samples were Ca-HCO3 type and that water-rock interactions were the predominant mineral source. Radon concentrations were <1 kBq m-3 for surface water, 1~10 kBq m-3 for spring water, and 1~1,000 kq m-3 for groundwater. Microbial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phyla were Proteobacteria, Planctomyceta, Verrucomicrobia, Acidobacteria, and Actinomycetota.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analysis indicated that water temperature, pH, and Si content were closely related to microorganism content. NMDS an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pring water were temperature, and Mg and Si concentrations, particularly for Acidobacteria and Proteobacteria, and Pseudomonas brenneri. Both hydrochemical and microbial community analyses yielded similar results at some spring and groundwater sampling points, likely due to the effects of a basalt aquifer.


    본 연구에서는 철원 샘통과 그 일대의 지하수 및 지표수의 지구화학 및 미생물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2022년 12월 15일 철원 샘통 5개, 지하수 3개 그리고 지표수 2개, 총 10개 지점에서 야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화학분석 결과 샘통과 지표수는 모두 Ca-HCO3 유형에 도시되었으며, 지하수 한 지점(CSG3)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은 모두 Na-HCO3 유형에 도시되었다. 또한 모든 지점은 같은 기상수의 기원으로 물-암석 반응이 우세하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라돈 농도 분석 결과 지표수는 1,000 Bq/m3 이하, 샘통은 1,000~10,000 Bq/m3, 지하수는 1,000~1,000,000 Bq/m3의 농도 값을 보였다.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 결과 문(phylum) 비율 중 가장 우점종은 Proteobacteria, Planctomyceta, Verrucomicrobia, Acidobacteria, Actinomycetota 순으로 나타났다. 비계량적 다차원 척도법 모델링(NMDS)에서는 수온, pH, Si가 현장의 토착미생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NMDS와 CCA 결과에서 샘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적 요소는 온도, Mg, Si로 나타나며, 그 환경적인 영향과 관련된 주요 미생물은 Acidobacteria Proteobacteria Pseudomonas brenneri이다. 수화학 및 미생물 군집 분석 모두 샘통과 지하수 CSG3 지점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현무암 대수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 COLLAPSE
    30 June 2023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Optimal Locations for Resource-Development Plants in the Arctic Permafrost Considering Surface Displacement: A Case Study of Oil Sands Plants in the Athabasca Region, Canada

    지표변위를 고려한 북극 동토 지역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 최적 입지 분석: 캐나다 Athabasca 지역의 오일샌드 플랜트 사례 연구

    Taewook Kim, YoungSeok Kim, Sewon Kim, Hyangsun Han

    김태욱, 김영석, 김세원, 한향선

    Global warming has made the polar regions more accessible, leading to increased demand for the construction of new resource-development plants in oil-rich …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석유자원이 풍부한 영구동토 지역에서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토 지역에서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 …

    + READ MORE
    Global warming has made the polar regions more accessible, leading to increased demand for the construction of new resource-development plants in oil-rich permafrost regions. The selection of locations of resource-development plants in permafrost regions should consider the surface displacement resulting from thawing and freezing of the active layer of permafrost. However, few studies have considered surface displacement in the selection of optimal locations of resource-development plants in permafrost region. In this study,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using a range of geospatial information variables was performed to select optimal lo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oil-sands development plants in the permafrost region of southern Athabasca, Alberta, Canada, including consideration of surface displacement. The surface displacement velocity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Small BAseline Subset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technique to time-series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 Phased Array L-band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acquired from February 2007 to March 2011. ERA5 reanalysis data were used to generate geospatial data for air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and soil temperature averaged for the period 2000~2010. Geospatial data for roads and railways provided by Statistics Canada and land cover maps distributed by the North American Commission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were also used in the AHP analysis. The suitability of sites analyzed using land cover, surface displacement, and road accessibility as the three most important geospatial factors was validated using the locations of oil-sand plants built since 2010. The sensitivity of surface displacement to the determination of location suitability was found to be very high. We confirm that surface displac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optimal lo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resource-development plants in permafrost regions.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석유자원이 풍부한 영구동토 지역에서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토 지역에서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 입지는 동토 활성층의 융해와 동결에 기인하는 지표변위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동토의 변위를 고려하여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의 입지를 선정한 연구 사례는 거의 없다. 이 연구에서는 캐나다 앨버타 주의 Athabasca 남부 지역에서 최적의 오일샌드 개발 플랜트 건설 입지를 선정하기 위해 지표변위를 비롯한 다양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계층화 분석(Analytical Hierarchy Process)을 수행하였고, 동토 지역에서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 활동에 있어 지표변위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2007년 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획득된 시계열 ALOS PALSAR 영상에 Small BAseline Subset-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기법을 적용하여 지표변위 속도 정보를 구축하였고, ERA5 재분석 자료로부터 2000~2010년 기간에 대한 평균 기온, 지표온도, 지중온도 정보를 구축하였다. 도로 및 철도와 토지피복 공간정보는 각각 캐나다 연방 통계청과 북미환경협력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토지피복, 지표변위, 도로 접근성을 가장 중요한 공간정보로 설정하여 수행한 최적 입지 분석 결과는 2010년 이후 건설된 오일샌드 플랜트 건설지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이 확인되었고, 입지 적합도 평가에 대한 지표변위의 민감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동토 지역에서 최적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지를 선정하는데 지표변위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 COLLAPSE
    30 June 2023
  • Research Article

    Earthquake Amplification for Various Multi-Layer Ground Models

    다양한 다층 지반모형에 대한 지진동 증폭

    Sugeun Jeong, Hoyeon Kim, Daeheyon Kim

    정수근, 김호연, 김대현

    Three ground models are analyzed using a 1g shaking table and laminar shear box (LSB)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ground …

    지진이 발생할 때 대한 지진동 증폭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1g 진동대와 연성토조(Laminar Shear Box, LSB)를 이용하여 모형지반을 조성하였고, 3가지 모델에 대하여 지진동 …

    + READ MORE
    Three ground models are analyzed using a 1g shaking table and laminar shear box (LSB)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ground structure on seismic wave amplification during earthquakes. Multi-layer horizontal, embankment, and basin ground models are selected for this investigation, with each model being divided into dense and loose ground layers, Accelerometers are install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each ground model to capture any seismic wave amplification owing th the propagation of an artificial seismic wave, sine wave sweep, and 10-Hz sine wave through a given ground model. The amplification of the tested seismic waves is analyzed using the observed peak ground acceleration and spectrum acceleration. The observed acceleration amplification in the multi-layer horizontal ground model is significantly higher the seismic waves that propagated across the dense ground-loose ground boundary compared with those that only propagated through the dense ground. Furthermore, the observed acceleration amplification gradually increas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multi-layer embankment and basin models for the seismic waves that propagated across the dense ground-loose ground boundary.


    지진이 발생할 때 대한 지진동 증폭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1g 진동대와 연성토조(Laminar Shear Box, LSB)를 이용하여 모형지반을 조성하였고, 3가지 모델에 대하여 지진동 증폭현상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3가지의 모형지반을 선정하였으며 모든 모형지반에서 조밀한 층과 느슨한 층으로 나누었고, 지반모형의 경우는 다층 수평지반, 다층 제방지반, 다층 분지지반모형으로 선정하였다. 각 지반모형을 제작하며 가속도계 매설을 진행하였으며, 인공지진파, Sinesweep파와 Sine 10 Hz의 지진파를 통하여 증폭현상을 확인하였다. 최대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lelration, PGA)와 응답스펙트럼 가속도(Spectrum acceleration, SA)를 통해 지진동 증폭현상을 확인하였다. 수평 다층지반에서 조밀한 지반을 통과 후 느슨한 지반에서 가속도 증폭이 조밀한 지반에 비해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른 두 모형지반에서는 층의 경계면을 통과 후 점차 중심부에서 가속도 증폭이 더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COLLAPSE
    30 June 2023
  • Review

    Trends in Predicting Groutability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ydrogeological and Rock Engineering Indices: A Review

    수리지질 및 암반공학 지수 간 상관분석을 통한 절리암반 내 그라우트 주입성 예측 연구 동향: 리뷰논문

    Kwangmin Beck, Seonggan Jang, Seongwoo Jeong, Seungwoo Jason Chang, Minjune Yang

    백광민, 장성간, 정성우, ChangSeungwoo Jason, 양민준

    Rock-mass grouting plays a crucial role in the construction of dams and deep caverns, effectively preventing seepage in the foundations, enhancing stability, …

    대형 댐 및 대심도 지하공간 개발에서 많이 시행되는 암반 그라우팅은 기초지반의 누수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추가적인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공종 …

    + READ MORE
    Rock-mass grouting plays a crucial role in the construction of dams and deep caverns, effectively preventing seepage in the foundations, enhancing stability, and mitigating hazards. Most rock grouting is affected by hydrogeological and rock engineering indices such as rock quality designation (RQD), rock mass quality (Q-value), geological strength index (GSI), joint spacing (Js), joint aperture (Ap), lugeon value (Lu), secondary permeability index (SPI), and coefficient of permeability (K). Therefore, accurate geological analysis of basic rock properties and guidelines for grouting construction are essential for ensuring safe and effective grouting design and construction. Such analysis has been applied in dam construction sit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drock and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methods for grout take. In South Korea,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grout injec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iques. However, there is a notable lack of research on the analysis of hydrogeological and rock engineering information for rock masse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rock grouting plans.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out take with important hydrogeological and rock engineering indices.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ock grouting research in South Korea are discussed.


    대형 댐 및 대심도 지하공간 개발에서 많이 시행되는 암반 그라우팅은 기초지반의 누수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추가적인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공종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암반 그라우팅은 수리지질 및 암반공학적 지수들(RQD, Q-value, GSI, Js, Ap, Lu, SPI, and K)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안전하고 적절한 그라우팅 설계 및 시공을 위해서는 지질학자들의 정확한 기초 암반의 분석과 적절한 그라우팅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해외의 경우 기초 암반의 수리지질 및 암반공학적 특성 분석과 그라우트 주입량(grout take, GT) 예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댐의 기초지반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그라우트 주입재료 및 시공관리 기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암반의 수리지질 및 암반공학적 특성을 고려한 암반 그라우팅 공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리뷰에서는 암반 그라우팅 계획시 중요한 수리지질 및 암반공학적 지수들(RQD, Q-value, GSI, Js, Ap, Lu, SPI, and K)과 그라우트 주입량의 상관성 분석을 진행한 해외 연구 사례를 파악하고 국내의 암반 그라우팅 관련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COLLAPSE
    30 June 2023
  • Technical Note

    Analysis of Overseas Data Management Systems for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관련 자료 관리 해외사례 분석

    MinJeong Kim, SunJu Park, HyeRim Kim, WoonSang Yoon, JungHoon Park, JeongHwan Lee

    김민정, 박선주, 김혜림, 윤운상, 박정훈, 이정환

    The vast volumes of data that are generated during site characterization and associated research for the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quire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다양한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자료가 생산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자료 관리가 필요하다. 스웨덴의 SKB는 SICADA를 구축하여 …

    + READ MORE
    The vast volumes of data that are generated during site characterization and associated research for the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quire effective data management to properly chronicle and archive this information. The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SKB, established the SICADA database for site selection, evaluation, analysis, and modeling. The German Federal Company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BGE, established ArbeitsDB, a database and 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the ELO data system to manage data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pository Site Selection Act. The U.K. Nuclear Waste Services established the Data Management System to manage any research and survey data pertaining to nuclear waste storage and disposal. The U.S. Department of Energy and Office of Civilia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established the Technical Data Management System for data management and subsequent licensing procedures during site characterization surveys. The presented cases undertaken by these national agenci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the scalability of data utilization to ensure effective data management. Korea should also pursue the establishment of both a data management concept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that considers data quality management and scalabilit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an associated data management system.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다양한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자료가 생산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자료 관리가 필요하다. 스웨덴의 SKB는 SICADA를 구축하여 부지선정, 평가, 해석, 분석 및 모델링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고, 독일의 BGE는 부지선정법에 따라 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및 문서 관리시스템 ArbeitsDB와 자료시스템 ELO를 구축하였다. 영국의 NWS는 DMS를 구축하여 연구, 조사 자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국의 DOE와 OCRWM은 부지특성화 조사를 진행하면서 자료 관리 및 이후의 인허가 절차를 위하여 TDMS를 구축하였다. 해외사례 조사, 분석을 통해 자료의 품질관리와 자료 활용의 확장성이 자료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우리나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료의 품질관리와 확장성을 고려한 자료 관리 개념을 확립하고 그에 맞춘 자료 관리 시스템 및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COLLAPSE
    30 June 2023
  • Technical Note

    Site Selection Methods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선정 방식 해외사례 분석

    HyeRim Kim, MinJeong Kim, SunJu Park, WoonSang Yoon, JungHoon Park, JeongHwan Lee

    김혜림, 김민정, 박선주, 윤운상, 박정훈, 이정환

    Site selection processes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in different countries differ in terms of local geology and degree of public …

    본 논문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선정 과정의 해외사례를 알아보고, 각 나라별 부지선정 과정 각 단계에서 고려되는 항목을 알아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부지선정 과정은 …

    + READ MORE
    Site selection processes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in different countries differ in terms of local geology and degree of public engagement. There seem to be three alternative processes for site selection: (1) selection with community consent after government choice; (2) selection with continuous community engagement after exclusion of unsuitable areas based on existing survey data; or (3) site selection where communities have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 Yucca Mountain site in Nevada, USA, was selected as the final disposal site by process (1) through six stages, but its development was suspended owing to opposition from the local governor and environmental groups. In Sweden, Switzerland, and Germany, process (2) is used and sites are selected through three stages. Sweden and Switzerland have completed site selection, and Germany is currently engaged in the process. The UK adopted process (3) with six stages, although the process has been suspended owing to poor community participation. In Korea, temporary storage facilities for spent nuclear fuel will reach saturation from 2030, so site selection must be promoted through various laws and systems, wit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local communities based on transparent and scientifically undertaken procedures.


    본 논문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선정 과정의 해외사례를 알아보고, 각 나라별 부지선정 과정 각 단계에서 고려되는 항목을 알아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부지선정 과정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시기와 각 나라별 지질학적 상황에 따라 선별기준이 서로 다르다. 처분 선도국의 경우 부지를 선정하는 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정부 주도의 부지선정 후 주민동의를 통해 부지를 선정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기존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배제지역을 제외한 후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부지를 선정하는 방식이고, 세 번째는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부지선정을 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방식에 해당하는 미국의 경우 총 6단계의 부지선정 단계를 통해 네바다주의 Yucca Mountain을 최종 처분부지로 선정하였으나 주지사와 환경단체의 반대로 중단된 상태이다. 두 번째 방식에 해당하는 스웨덴, 스위스, 독일의 경우 총 3단계의 부지선정 단계를 통해 부지를 선정한다. 스웨덴과 스위스는 부지선정을 완료했으며 독일은 현재 3단계 중 1단계의 Step 2를 진행 중이다. 세 번째 방식에 해당하는 영국의 경우 총 6단계의 부지선정 단계를 계획하여 선정 과정을 진행하다가 지역사회의 참여저조로 중단되었으며, 그 이후 지역사회와 협력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2030년부터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임시 저장시설이 포화 되기 시작하므로 부지선정 추진이 필요하다. 법과 제도를 확정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여, 부지선정을 추진하고 이 과정에서 투명한 절차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부지선정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COLLAPSE
    30 June 2023